국정원, NLL논란 ‘진원지’로 지목

정청래 “유출지는 딱 한곳 ‘국정원’…국조특위서 따져볼 것”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찾지 못하면서 국정원에 보관된 전문이 사실상 ‘유일본’이 된 만큼 국가정보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둘러싼 모든 논란의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23일 SBS라디오에서 “대선 과정에서 국정원에 있는 기록이 유출돼 새누리당에서 선거에 이를 활용한 것부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 국가정보원
ⓒ 국가정보원

또, 국정원 국정조사특위 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대통령기록관 회의록이)진짜 없는지 못 찾는지 차후 따지더라도 분명해진 것은 유출은 딱 한 곳 국정원이었다는 사실”이라며 “남재준 국정원장도 국정원 것이 진본이라고 했다. 정문헌, 김무성(의원)등이 읽었던 것은 국정원 유출이다. 이 문제를 국조특위에서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공세에 불을 지폈다. 정문헌 의원은 지난해 10월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노 전 대통령이 ‘NLL 때문에 골치 아프다.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멋대로 그은 선이니까 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비밀 대화록이 존재한다고 폭로했다.

지난해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 종합상황실장인 권영세 주중대사는 지난해 12월 10일 “자료(회의록)구하는 건 문제가 아니다. 소스(자료출처)가 청와대 아니면 국정원이니까. 우리가 집권하면 까고(공개하고)”라고 언급한 녹음파일이 공개됐다. 또 박근혜 캠프 총괄선대본부장이던 김무성 의원은 지난해 12월 14일 부산 유세 때 “노 전 대통령이 ‘NLL 문제는 국제법적 증거도 없고, 논리적 근거도 분명치 않다. 헌법 문제가 절대 아니다’라고 했다”고 발언했다. 김 의원 발언은 국정원이 공개한 전문과 토씨까지 일치할 만큼 정확했다.

이보다 앞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2009년은 대화록 전문을, 2010년에는 대화록 발췌본을 각각 국정원으로부터 보고 받았다”는 여권 고위 관계자 증언도 나온 상태라고 <경향>은 전했다. 또 지난해 10월 25일 대통령실 국정감사 때 천영우 당시 외교안보수석은 “수석으로 부임(2010년 10월)한 지 얼마 안 된 2년 전쯤에 (회의록을)봤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