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교육 정상화’ 거리 먼 서울대에 20억 재정지원 논란

교육부 “일부 쇠퇴했지만 여전히 타대학에 비해 월등”

이미지출처=트위터
이미지출처=트위터
고교 서열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서울대가 이번에는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했다는 명목으로 올해 교육부로부터 20억 원을 지원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교육부가 발표한 ‘2014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에 따르면 서울대는 올해 선정된 총 65개 대학들 중 4번째로 가장 많은 액수를 지원 받았다.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 받는 학교는 경희대·중앙대·한양대로 모두 최우수 평가를 받아 30억원씩 배정 받았다. 그 뒤를 이어 서울대(20억원), 전남대(17억 6,000만원), 이화여대(15억 2,000만원), 경기대(14억 4,000만원) 순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문제는 서울대의 입시안이 고교 정상화와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연 2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서울대가 올해 1월에 발표한 2015년 입시안을 살펴보면 ▶지역균형발전선발전형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2개에서 3개로 확대 ▶과학탐구Ⅱ 두 과목 응시자 가산점 혜택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Ⅰ(저소득층 가구 및 농어촌 학생 대상) 수능 최저학력기준를 폐지했다.

이에 지난 1월 전국 고교 진학 담당 교사들의 모임인 ‘전국진학지도협의회’(이하 전진협)는 서울대 입시 정책이 공공성을 외면했다고 공개 비판했다.

전진협은 “서울대가 외고, 국제고, 과학고 등 그동안 내신이 불리했던 특목고 학생들을 싹슬이 하겠다는 발상”이라며 “이는 학생들에게 고른 기회를 주려는 국가 정책에 반하는 것”이라 비난했다.

전진협에 따르면 서울대는 지난 2013학년도에서 수시 인원을 늘리면서 지역균형선발전형을 전년대비 5.9% 증원했다. 반면 특목고나 일부 자사고 학생들이 주로 합격하는 일반전형은 무려 48.6%를 늘렸다.

그러나 2015학년도 신입생 선발 계획에서는 정시 인원을 늘리면서 수시 인원이 줄어들었는데, 지역균형선발전형의 경우 11.4%를 감원한 반면, 일반전형은 9.2% 밖에 감원하지 않았다.

한편, 이와 관련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올해 서울대 입시안이 전년도에 비해 다소 쇠퇴한 부분이 있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서울대는 여전히 타 대학에 비해 정시비중이 낮고, 학생부 중심으로 꾸려지고 있어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이어 “서울대의 지역균형선발제도 역시 다른 대학들에 비해 월등한 편이다. 선발 인원수가 다소 감소되는 등 이를 가지고 고교 서열화 했다 보기엔 무리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