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의원 “지도교수 직위 이용 제자 논문 가로채기”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제자가 쓴 논문을 자신의 연구 결과인 것처럼 학술지에 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송광용 신임 대통령교육문화수석비서관에 이은 교육계 수장들의 잇따른 논문 표절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17일 새정치민주연합 박홍근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지난 2002년 6월 한국 교원대 교수 재직 시절 ‘자율적 학급 경영방침 설정이 아동의 학급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박 의원실이 이를 국회도서관 정보시스템과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제목과 내용이 4개월 전인 같은 해 2월, 김 후보자의 제자 정모씨가 석사논문으로 제출한 논문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216개 문장 중 동일 문장이 101개, 표절이 의심되는 문장은 112개에 달했다.
목차와 제목도 유사했다. 정씨의 논문에 표기된 ‘학급경영방침 개념과 원칙’이라는 제목이 김 후보자 논문에서는 ‘학급경영방침의 원칙’으로 바뀌었다. 또한 정 씨가 제시한 3개의 가설과 연구 방법은 물론 논문에 실은 표 4개와 그림 1개도 모두 일치했다.
김 후보자는 또한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제1저자로, 제자 정씨를 제2저자로 올렸다. 지도교수가 제자와 함께 학술지에 이름을 올릴 경우 논문 첫 장에는 제자의 학위 논문이었다는 사실을 명기하는 것이 상례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이 같은 표시도 없이 자신을 제1저자로 올렸다.
김 후보자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당시는 교수논총이든 다른 학술지든 논문이 없어서 쩔쩔매던 때”라면서 “학생을 살려주자는 취지에서 지도교수가 함께 이름을 올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박홍근 의원은 “제1저자가 100%의 연구 실적을 인정받는 반면, 제2저자는 50%이하만을 인정받는 학계 분위기상, 김 후보자가 지도교수의 직위를 이용해 제자의 논문을 가로채기 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비난했다. 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이 일면서 일각에선 김 후보자의 도덕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의원은 “청와대의 인사 검증 시스템에 구멍이 난 일”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학자로서의 양심을 버린 인물을 교육부 자리에 앉힐 것인가”라고 비난했다.
서주호 정의당 서울시당 사무처장도 “송광용 교육수석에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논문 표절 의혹을 받았다. 이는 청와대가 장관 후보자들의 검증은 뒷전으로 두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