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가 밝혀야 할 세월호 침몰사고 의혹 긴급 토론회
세월호 국정조사를 위한 여야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 ‘국정조사가 밝혀야 할 세월호 침몰사고의 의혹’ 긴급 토론회가 개최되며, 진상규명이 되기 위해 밝혀져야 할 의혹과 진실에 대한 토론이 벌어졌다.
28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는 통합진보당 이상규 의원실의 주최로 이같은 긴급토론회가 개최됐다. 토론에는 최영일 시사평론가의 사회로 신상철 전 천안함 민군합동조사위원과 이종인 알파잠수공사 대표, 이상호 go발뉴스 기자가 패널로 참석했다.
신상철 전 위원은 세월호 사고의 경위, 구조 활동, 실종자 수색 작업 등 참사 이후의 과정들에 대해 설명하며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을 제기했다.
특히 신 전 위원은 사고 발생 초기에 해경이 구조활동을 벌였던 모습을 보여주며 “구명조끼를 입은 사람들은 물속으로 들어가라 지시하고, 해경은 배 위에 올라 유리창을 깨서 구조를 했어야 한다”며 “구조 매카니즘이 전혀 없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신 전 위원은 세월호가 방향을 급선회하며 사고가 났다는 것에 대해 “눈속임 귀막는 엉뚱한 보도”라며 “선박은 절대 급선회를 한다고 해서 넘어지지 않고 넘어져서도 안 된다. 무리하게 짐을 실고 회전했다면 전복 시키기 위해 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며 사고 경위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신 전 위원은 전문구조팀에 대한 해경의 ‘접근 통제’, 사고 이전 세월호와 제주 VTS 간의 교신 내역 비공개, 해경의 아파트에서 이준석 선장을 머물게 했다는 점 등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제기, 반드시 진상규명 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희생자 가족들에게 “모든 의혹을 풀기 위해서 선박에 대한 보전이 이뤄져야 한다”며 “선박 선체에 손 대고 훼손하는 어떠한 일도 있어서는 안된다. 바로 그 안에 진실이 담겨있기 때문”이라면서 선체보전가처분신청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상호 ‘go발뉴스’ 기자는 세월호 참사 이후 현장에서 취재한 내용들을 사진으로 보여주며 언론 보도 상태, 당시 실종자 가족들의 상황, 다이빙벨 보도 과정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 기자는 “현장에 도착한 지 2~3일 만에 느꼈던 것은 컨트롤타워 즉, 정부가 없었다는 것이다. 너무도 안타까웠다”며 “가족들이 전문가가 아닌데도 어떻게 구조를 해달라 요구하면 ‘너희들이 원하는 거면 해줄게’라는 일관된 식으로 대처했다. 정부가 가족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기자는 정부가 국정조사를 통해 합리적인 의혹에 답해야 한다며 ‘세월호 운항관리규정’, ‘8시 35분께 만재도 인근 해역에서 선장이 제주 VTS에 정상적 위치를 보고한 점’, ‘발라스트 밸브 폭발설’ 등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쌍둥이 여객선인 오하마나호 조타실에 있는 방송장비와 교신기, 스위치 사진 등을 보여주며 “사고 당시 ‘왜 비상버튼을 누르지 않았나’”는 의혹에 대해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진행된 패널들의 질의응답 시간에는 시민 및 희생자 가족들의 질문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잇따랐다.
한 시민은 “국정조사에 해외전문가 참여로 전문성을 보장해야 하고 특별검사를 도입해 정부 관계자의 직무유기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불어 국가 존재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했고, 또 다른 시민은 “국제사법재판소에 국가의 간접 학살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