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학교측, 요구사항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중앙대학교 총학생회가 부당한 처우 개선과 중앙대의 중재를 요구하며 33일째 교내에서 파업 농성 중인 청소노동자들이 소속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 측에 학교에서 나가줄 것을 요구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중앙대 총학생회 등 11개 학생 대표 기구로 구성된 중앙대 제56대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는 지난 15일 밤 “민주노총이 교섭해야 할 대상은 중앙대가 아닌 하청 용역업체”라며 “민주노총은 중앙대에서 철수해주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민주노총 측에 전했다.
이들은 “민주노총이 주장하고 있는 징계위원회 노사 동수 구성, 노조의 신규직원 추천권, 노조활동 유급 보장 등 세 가지 조항은 학생 대표자들 입장에서도 수용 불가한 것”이라며 “이 요구들을 관철시키기 위한 노동쟁의는 지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운위는 “총학생회 설문 결과 청소노동자들이 민주노총 측 주장을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아님이 드러났다”며 “민주노총은 정상화에 대한 의지는 버려둔 채 자신들의 요구안 반영만을 생각하고 중앙대와 소속 구성원들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실질적으로 청소노동자들이 개선되길 원하는 외곽청소, 휴식장소, 휴가제도 등 문제의 개선을 위해 중운위가 나서겠다”고 했다.
중앙대 총학생회장 강동한 회장은 16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과 인터뷰에서도 “(민주노총에서 요구하는) 노조활동 유급 보장과 징계위원 동수 구성, 적정인력 확보라는 요구사항이 어머니들(청소노동자들)의 직접적인 처우 개선에 이게 무슨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이런 요구 사항들을 민주노총 측에서는 핵심 쟁점으로 삼아서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민주노총을 배제하고 전체 111명 청소노동자 중 74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는데 그 결과 지금 단체협약에 체결되지 않는 이 세 가지 조항보단 외곽 청소인원에 대한 추가나 휴식 장소 개선, 휴가제도, 산재처리 등을 어머니들이 실질적으로 원하시는 사항”이라 강조했다.
이에 민주노총 서경지부는 “청소노동자들과 용역업체 간 교섭은 모두 105개 조항 중 80개 조항에서 합의가 안 된 상태다. 학생 대표 기구인 중운위가 중앙대 측과 동일하게 3가지 조항만을 문제 삼는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진랑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 조직차장은 같은 CBS 라디오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중앙대 측과 용역회사에 그 동안 설명한 것과 다르게 중운위에서 학교와 똑같은 입장으로 답변을 한 것에 대해 안타깝다”고 밝히며 학생들의 지적한 쟁점들에 대해 반박했다.
김 조직차장은 학생들이 문제를 삼은 신규직원 추천권에 대해서 “단체협약에는 단순히 직원 추천권이라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는 ‘적정인력 확보와 정원유지’”라며 “실내용은 자연감소나 결원들이 생겼을 때 7일 이내에 인원을 채워달라는 의미다. 노동조합에서 추천하는 자를 회사에서 채용하라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노조활동 유급 보장 요구에 대해서도 김 조직차장은 “이는 노동조합을 인정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라며 “노동조합 활동들이 근무 외 시간에만 할 수 없다. 근무시간에 하게 되더라도 유급으로 인정해 달라는 의미다. 그런데 이를 인정해 주면 조합원들이 근무시간에 일을 하지 않고 청소에 뭔가 차질을 빚게 만들 것처럼 이야기 한다”며 일부에서 지적하는 상근요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특히 김 조직차장은 학생들이 청소노동자들을 상대로 실시했다는 설문조사에 대해선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질문 자체가 지금 현장에 일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만족하냐, 불만족하냐. 휴게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런 질문이었다”며 “쟁점인 세 가지 사항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했다고 듣지를 못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편 민주노총 서경지부는 “중앙대 홍보실에서 최근 노조활동 유급 보장과 관련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어 이에 대해 중앙대를 명예훼손 등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며 16일 중앙대 홍보실장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 동작경찰서에 제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