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인력 등 한계로 분석도 못해
검찰이 현재까지 기소한 트위터 글 121만건 외에도 2200만건을 더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국가정보원 심리전단 직원들이 201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2270개의 트위터 계정에서 2200만건의 글을 조직적으로 올리거나 퍼나른 사실을 확인했으나, 수사인력의 한계와 재판 일정 때문에 대선·정치 개입 혐의에 대해 제대로 분석도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겨레>에 5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1부(재판장 이범균) 심리로 열린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에서, 검찰은 국정원 직원들의 트위터 글을 추적한 경위를 자세히 설명했다.
이날 검찰은 트위터 글을 올린 국정원 심리전단 안보5팀 직원의 전자우편을 압수수색해 본문과 첨부파일에서 안보5팀 직원들이 사용한 트위터 계정 414개를 확인했다. 검찰은 “이 중 상당수는 계정별로 직원의 이름 앞 글자 2개가 적혀 있었고, 이는 검찰이 자체적으로 파악한 안보5팀 직원의 이름과 일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 가운데 국정원 직원이 시인한 계정 등 확실한 계정 383개를 1차 그룹으로 추려 이 계정에서 12만건의 대선·정치 개입 글을 올린 것을 찾았다.
또한 이와 별도로 국정원 안보5팀 직원들이 조직적으로 사용한 계정 2270개를 추가로 확인했으며, 이들 계정에서 2200만건의 글을 올린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검찰은 처음 찾은 383개 계정의 대선·정치 개입 원글 12만건과 2270개 계정에서 이 원글을 리트위트한 109만건을 합쳐 121만건만 대선·정치 개입 관련 글이라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2270개 계정에서 올린 전체 2200만건의 글 가운데 109만건을 제외한 나머지 2091만건은 분석도 못했기 때문이다.
검찰은 재판에서 “국정원 직원들이 사용한 모두 2653개(383+2270) 계정 중 대다수가 선거·정치 개입 등 불법 목적에 동원된 사실을 확인했다”며 “자동프로그램 등을 통해 동시에 리트위트를 수행했고, 1명이 수십·수백개 계정을 사용했으며, 대선과 같은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등 비정상적인 트위터 활동을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어 “하지만 제한된 인력과 재판 일정상 2200만건을 전수조사해 선거·정치 개입 글을 분류하는 게 현실적으로 곤란했다”며 “선택과 집중에 따라 383개 계정이 작성하거나 이 글을 리트위트한 121만건을 먼저 기소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향후 2270개 계정의 트위터 글에 대한 검찰의 추가 수사나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특검 수사가 이뤄져 아직 검찰이 손도 대지 못한 2091만건을 분석할 경우 국정원 직원들이 작성하거나 퍼나른 대선·정치 개입 관련 글이 얼마나 늘어날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