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전 재산 사회환원 포장.. 재산 보전에만 힘 써”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9년 설립한 장학재단인 청계재단이 친․인척에게서 받은 기부금을 장학금 지급에 쓰지 않고 재산을 불리는 용도로 쌓아둔 사실이 확인돼 청계재단이 이 전 대통령의 재산 피난처가 아니냐는 의혹이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홍근 민주당 의원이 21일 서울시교육청을 통해 청계재단의 운영현황을 제출 받아 분석한 결과, 청계재단은 2010년, 이 전 대통령의 처남인 고 김재정 씨의 부인 권영미 씨로부터 기부 받은 (주)다스의 주식 101억원어치(1만4,900주)를 전액 재산증자 목적으로 쌓아둔 것으로 드러났다.
권씨가 주식을 내놓으면서 서명한 기부문서에는 ‘설립 취지를 생각하고 재단 발전을 위함이며 많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돼 있지만, 재단은 이 주식을 팔아 장학금 지급에 쓰지 않고 ‘재산증자 기부’로 편성해 적립했다.
(주)다스는 이 전 대통령의 실소유주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는 자동차부품업체로,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이사로 있다. <한국>은 이와 관련 사실상 청계재단이 이 전 대통령의 재산을 옮겨 보관해두는 금고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심을 살 수 있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주)다스는 2011년까지 주주 배당을 하지 않다가 2012년 처음으로 청계재단에 배당금 1억 3,112만원을 줬다. 하지만 청계재단이 이 중 얼마를 장학사업에 썼는지는 알 수 없다.
청계재단의 장학금 지급규모는 2010년 6억2,000만원, 2011년 5억8,000만원, 2012년 4억6,000만원, 올해 4억5,000만원 수준으로 해마다 줄어들었다. 임은희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주식 배당금은 평가액의 약 1.3%정도로 소액이기 때문에 장학사업이 목적인 재단의 경우 기부 받은 주식을 매각해 최대한 현금으로 만들어 설립 목적에 맞게 쓰는 게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사돈기업이 한국타이어로부터 2010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현금 6억원을 기부받으면서 기부증서도 쓰지 않은 채 마치 개인간 현금 거래처럼 계좌이체 된 통장사본만 보관해오다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시정 요구를 받은 사실도 드러났다.
청계재단이 설립 이후 받은 기부금은 이 전 대통령의 처남댁과 사돈에게서 받은 3건이 전부여서 재단 측이 장학사업을 위한 기부금 모금활동에 손을 뗀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 <한국>은 전했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이 전 대통령이 전 재산의 사회 환원으로 포장해 만든 청계재단이 본연의 역할은 소홀히 하면서 재산 보전에만 힘쓰고 있다”며 “MB의 재산 피난처 아니냐는 세간의 의혹이 커지는 만큼 시교육청의 철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같은 보도에 네티즌들은 “4대강ㆍ자원외교ㆍ국정원 등으로 온통 헤집어놓고, 자기 뱃속만 불리니, 역시 그 인성 어디 갈까”(red*****), “사회 환원이 아니라 사위 환원이지”(****기회에), “거봐, 오른쪽 주머니에서 왼쪽주머니로 위치이동이라고 했잖아”(남**),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꼼수에 거짓말...MB 가훈 오죽하면 정직이란다”(tin**)라고 비꼬았다.
또 “MB가 재산을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재단을 설립한 것은 기업으로 보자면 개인기업을 법인전환한 것에 불과하다. 재단의 운용자가 MB의 사위, 친척, 지인 아니었나”(나인**), “컴퓨터 하드라면 MB=DEL키 눌렀으면 좋으련만 들을 때마다 스트레스 쌓이네”(봄가****), “BBK재수사하라”(익*), “이 나라가 법치주의국가라면 하루속히 이명박을 사법처리 해야 한다. 나라꼴을 엉망으로 만든 장본인이다”(수호**), “이게 의혹이냐?? 그냥 사실이지”(bravo*****), “장학재단 이사진이 누구누구인지 밝혀주세요”(JH****), “뭘 새삼스럽게 다 알면서”(주니어**)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