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훈장 달 때 얼마나 우릴 비웃었을까”
정부가 A급 전범을 비롯,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거나 독도 망언을 일삼은 일본인 12명에게 한·일 친선에 기여했다며 훈장을 수여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9일 <연합뉴스>는 국회 외교통일위 소속 인재근 민주당 의원이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2013년 8월말까지 ‘외국인 훈장 수훈자’ 일본인 326명을 분석한 결과, 신사 참배와 독도 영유권 주장 등으로 물의를 빚은 일본 정치인 12명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들 12명 가운데 A급 전범인 현 아베 신조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 고다마 요시오, 사사카와 료이치 등이 포함됐고, 인재근 의원은 이들 3명에 대해 “A급 전범 25명 중 사형당한 7명, 감옥에서 숨진 3명을 제외한 15명의 전범 가운데 3명”이라고 설명했다.
수훈자에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스즈키 젠코 전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 모리 요시로 전 총리 등 3명과 731부대 관련자인 가토 카쓰야 등도 포함됐다.
또한 독도 관련 망언 등을 했던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아베 총리 외조부 동생), 시나 에쓰사부로(기시 노부스케의 핵심참모), 다카스기 신이치, 아베 산타로 전 외무대신(아베 총리의 부친), 다케시타 노보루 전 총리 등도 우리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인 의원은 사토 전 총리가 1965년 “독도는 일본의 영토라는 데 의심이 없다”, 시나 에쓰사부로는 “조선병합을 일본제국주의라고 한다면 그것은 영광스런 제국주의다” 등의 망언을 했다고 전했다.
훈장을 받은 12명 가운데 731부대 관련자인 가토 카쓰야만 ‘국민훈장동백장’을, 나머지 11명은 ‘수훈장광화교장’을 받았다.
이들에게 훈장을 수여한 정부는 박정희 정부 7명, 전두환 정부 3명, 김영삼 정부 1명, 이명박 정부 1명 등이다. 이명박 정부는 모리 요시로 전 총리에게 2010년 11월 수교훈장광화대장을 수여했다.
이에 대해 인 의원은 “우리 정부 수립 이후 훈장을 받은 일본인 326명을 대상으로 관보, 언론기사, 인터넷, 일본의 국회 회의록 등을 모두 조사하고 그들의 경력사항과 과거 행적, 발언 등을 모두 조사하고 분석해 수훈 자격에 문제가 있는 12명의 명단을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인 의원은 “이들은 모두 일본의 우경화나 군국주의를 꾀하고 심지어 역사적인 사실관계를 부정하는 등 한일관계에 공헌은커녕 악영향을 끼쳐왔다. 훈장을 받을 자격이 전혀 없는 인물들”이라고 비판한 후 “정부 서훈제도의 근본적인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해당 소식은 접한 네티즌들은 ‘친일정부’라며 맹비난하고 나섰다. 한 네티즌(울산**)은 “대한민국의 외교부이기를 거부하고 총독부의 외교부이기를 지향하는구나”라고 비난했고, 또 다른 네티즌(지**)은 “이러니 왜놈들이 한국을 호구로 알지. 국민들이 떠들면 뭐해. 높은 양반들이 앞다퉈 모시는데..”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 밖에도 “훈장을 가슴에 달 때 얼마나 이 나라를 비웃었을까. 조상님께 얼굴을 들 수가 없다”(suk***), “본국에 충성을 다하는구나~”(견초**), “히틀러에게 유태인 학살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독일 정부에서 훈장 주는 거와 뭐가 달라?”(정**), “이 나라는 도대체 어디까지 막장인거냐? 내 살아생전 제2의 경술국치를 보게 되겠구나..”(무**), “친일친일. 일본 해산물 금지도 맘대로 못하는 나라 한국”(jsn5****), “일본 앞잡이들 정리 하지 않고 흘러온 역사니.. 당연한 결과 아닐까?”(kdc0****) 등의 분노 섞인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