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의도치 않은 결과”.. 네티즌 “우연치곤 놀라운 확률”
코레일이 폐차직전의 ‘노후 객차’를 호남선과 전라선에 집중 배차해 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뉴시스>는 ‘주요노선별 열차 제작년도 현황’(코레일 자료)에 따르면, 내구연한(25년)이 1~3년 남은 무궁화·새마을호 등 일반열차 가운데 1989~1991년에 제작된 객차(승객 운반 차량)의 70.6%가 호남선과 전라선에 집중 배차됐다고 전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이 기간(1989년~1991년)에 제작된 객차 편성량을 확인한 결과 내구연한이 3년도 남지 않은 노후 객차는 총 75량으로 파악됐다. 이 중 호남·전라선에 53량(70.6%)이 집중 배차됐으며, 경부선 14량(18.6%), 중앙선 6량(0.8%), 장항선 2량(0.2%) 등으로 확인됐다.
평일 기준 일반열차 운행 횟수(9월2일 기준)는 경부선 84회, 호남선 38회, 전라선 30회, 장항선 32회, 중앙선 20회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가장 최근 제작한 객차(2001~2003년·단종)는 상대적으로 경부선에 많이 편성됐다. 코레일은 이 때 제작된 차량 총 117량 중, 경부선 68량, 전라선 45량, 호남선 37량, 장항선 24량, 중앙선 3량 등으로 편성했다.
코레일 측은 이에 대해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라며 당혹스러워 했다.
코레일 A간부는 <뉴시스>에 “예전에 간혹 그런일이 있다고 들었지만 (현재는) 차량사업소에서 차량 검수 후 일괄적으로 배치·운용하기 때문에 호남·전라선만 (노후 객차를) 고정 편성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의도치 않게 (편중)됐지만 지역차별 논란으로 확대되진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달 말부터 운행될 ITX새마을호가 편성되면 이런 논란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치권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김광진 의원은 “노후객차와 신규객차가 일부노선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코레일은 공정한 기준을 가지고 지역편차 없이 객차를 편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코레일은 객차편성의 일부노선 편중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실히 증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설마 의도적으로 이렇게 편성했겠느냐”며 “이 상황이 혹여나 정치권으로 불똥이 튀진 않을까 우려된다”고 조심스러워 했다.
이 밖에도 전라선(용산역-여수EXPO역)이 경부선(서울역-부산역)보다 정차역이 많고 운행거리는 짧지만, 요금은 별 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요시간은 평균 4시간45분으로 양 노선이 비슷하다.
요금은 새마을호 평일 기준 ‘용산역-여수EXPO’ 구간(정차역 16곳) 4만700원, ‘서울역-부산역’(정차역 11곳)은 3만9300원으로 확인됐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지역감정을 조장하고 있다며 분노했다. 한 네티즌(머툴**)은 “좌우분열이 안 되겠냐? 피해의식이 생기고 국론이 분열되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고 비난했고, 또 다른 네티즌(베네***)은 “일부러 하지 않았으면 어떻게 저렇게 나오나”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다시 삼국시대로 갈까? 대통령도 3명 뽑고?”(리브**), “대전 삽니다. 서울에 종종 갈일이 있는데 호남선 탈 때와 경부선 탈 때 많이 느끼던 일인데 객관적인 사실이었군요. 저것도 권력이라고.. 구역질납니다”(꿀*), “정의나 공정보다 지역감정의 힘이 더 센 대한민국 수준”(태*),
“드러내놓고 탈 것 조차 지역을 차별화하는 한국”(오밸***), “우연치곤 놀라운 확률”(마*), “의도치 않고서야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을까 싶네요. 이건 분명한 지역차별이라고 보이네요”(좋은**) 등 조롱 섞인 비판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