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평화의 소녀상’ 추가 건립 ‘무산’ 위기

니이미 LA총영사 방해공작…“우리정부, 적극 대응 나서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고 일본의 제국주의 전쟁범죄를 고발하는 ‘남가주 평화의 소녀상 건립 운동’이 난관에 부딪혔다.

5일 자 ‘데일리 고발뉴스’는 지난 7월 말 미국 내 처음으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글렌데일 시에 이어 두 번째로 소녀상 건립을 추진하던 부에나팍시의 시의원 2명이 일본 LA 총영사의 항의 방문 직후 소녀상 건립을 반대하고 나선 사실을 보도했다.

LA주재 준 니이미 일본 총영사 ⓒ '데일리 고발뉴스'
LA주재 준 니이미 일본 총영사 ⓒ '데일리 고발뉴스'

이들 시의원들은 지난 8월 6일 부에나팍시 청사를 항의 방문한 준 니이미 일본 LA 총영사와 면담 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한․일간 국제분쟁 이슈를 부에나팍시로 끌어오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는 소녀상 건립에 대한 최근 LA 일본 총영사관의 공식 입장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어서 니이미 총영사의 방해공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은 “지난 1965년 한일 수교 협정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배상은 완료됐다”는 일본 정부 측 논리를 그대로 제시하기도 했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막기 위한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방해 노력이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에 대해 별다른 대응을 하고 있지 않아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소녀상 건립을 제안했던 밀러 오 부에나팍시 부시장은 ‘go발뉴스 LA’에 “일본은 자랑스럽지 않은 과거를 나타내는 게 창피하니까 적극적으로 시의원들을 만나 소녀상 건립을 방해를 하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도 가만히 있지 말고 시의원들에게 위안부 피해 역사를 알리는데 앞장서야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같은 일본정부와 미국 내 일본인들의 조직적인 방해로 인해 소녀상 추가 건립 운동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내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주도해온 가주한미포럼의 윤석원 대표는 “시의원들의 생각을 우리 쪽으로 돌리려면 역사적인 배경 설명과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 등을 통해 진실을 알아야 한다”며 “이는 시간이 굉장히 많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부에나팍시의회의 소녀상 건립 논의는 그 동안 일본정부와 일본계 미국인의 방해로 진행이 늦어져 이달 중 최종 심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하지만 시의원 5명중 2명이 반대 의견을 표명함에 따라 진행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 9.5 ‘데일리 고발뉴스’ “니이미 LA총영사 방해공작 먹혔다” (03분 21초~)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