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감시센터 “측정기구 확충…정확한 정보 숨김없이 알려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커지자 자체적으로 장비를 보유한 시민단체가 일반 시민에게서도 방사능 측정 의뢰를 받기로 했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환경운동연합, 한 살림연합, 두레생협연합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지난달 26일부터 일반인으로부터 방사능 오염이 의심되는 먹을거리와 공산품 등에 대한 성분 측정 신청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모은 기금 1억5천여만원으로 방사능 측정장치인 ‘감마 핵종분석기’를 구입,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 설치했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비교해 성능이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게 센터 측의 설명이다.
센터는 애초 이 장비를 생활협동조합에서 생산한 농산물의 방사능 측정에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최근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 먹을거리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홈페이지에 시민을 대상으로 측정 의뢰를 받는다는 안내문을 올렸다.
이같은 소식은 센터 소속 단체들이 홈페이지에 안내문을 올렸을 뿐 본격적으로 홍보하지 않았음에도 안내문이 블로그와 카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등으로 퍼져 지난 일주일간 문의 댓글과 전화가 수없이 걸려오고 있다고 센터 측은 설명했다.
방사능 측정을 맡고 있는 노동건강환경연구소 육승렬 연구원은 ‘go발뉴스’에 “방사능 측정 의뢰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면서 “개인적으로 의뢰하시는 분들도 있고 기업에서 내부 관리 차원에서 의뢰를 해 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산물에 대한 측정 의뢰가 많고 미량이지만 방사능이 검출되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수산물 등을 먹지 않는 방법 외에 별다른 예방법은 없다”고 전했다.
한편, 김혜정 센터 운영위원장은 <연합>에 “일반 국민이 느끼는 방사능 공포와 우려, 오염 확산 실태 등을 고려할 때 정부의 방사능 측정 장비와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국민 불안감을 없애려면 측정기구를 확충하고 정확한 정보를 숨김없이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