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추적60분>,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편 연기 논란…국정원 ‘눈치보기?’

언론노조 “‘국정원 감싸기’…관제방송인의 전형적인 발상”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을 오는 31일 다룰 예정이었던 KBS<추적60분>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무죄 판결의 전말’ 편을 담당 국장이 갑작스레 연기를 통보해 ‘내란음모 수사’를 시작한 국가정보원의 눈치보기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30일 <PD저널>에 따르면, 2개월 동안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을 취재해온 <추적60분>제작진은 방송을 이틀 앞둔 29일, 백운기 시사제작국장에게 ‘통합진보당 수사가 진행 중인 민감한 시기이니 국정원 아이템을 1주일 연기하자’는 통보를 받았다. 제작진은 편집 작업까지 모두 마무리된 시점에 국정원 수사를 이유로 방송을 연기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KBS <추적60분>
ⓒ KBS <추적60분>

언론노조 KBS본부는 30일 성명을 내고 “백운기 국장이 억지로 통진당 사건과 연결해 이 아이템을 결방시키려는 의도는 국정원의 신뢰에 조금이라도 흠을 내지 않겠다는 정략적인 발상”이라며 “이는 사실상 국가 공권력에 무한한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관제방송인의 전형적인 발상이자 시사 아이템을 공권력을 위해 불방 시킨 치욕스런 사례”라고 비난했다.

이어 “백운기 국장은 제작팀에게 2주후에는 방송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자신의 직을 걸겠다고 이야기 했다고 하는데, 이번 결방 사태를 계기로 백운기 국장은 이미 자신이 국장직의 자격을 스스로 박탈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홍기호 언론노조 KBS본부 부위원장은 “간첩 사건이 국정원의 내란음모 사건과 무슨 관계가 있어 방송 아이템을 연기하자는 것인지 납득할 수 없다”며 “국정원이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 등을 내란 음모죄로 몰아가고 있는 시점에 ‘탈북자 남매 간첩사건’을 다루게 되면 국정원의 신뢰에 금이 갈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방송 연기 여부와 관련 백운기 국장은 “논의 중”이라고만 답했다고 <PD저널>은 전했다.

앞서 국정원은 탈북자 200여 명의 신상정보를 북한에 넘긴 혐의로 기소된 서울시 공무원 유모 씨가 최근 무죄를 받으면서 간첩사건을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