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대선 때 <네이버><다음> 등 포털 메인 화면도 장악

文 ‘비방글’ 지속적으로 ‘찬성’ 눌러 메인 화면에 올려

ⓒ'국가정보원'
ⓒ'국가정보원'

국가정보원 직원 등이 지난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포털사이트에서 특정 게시글에 대한 추천‧반대 의견을 반복 클릭함으로써 자신들에게 유리한 글들을 메인화면에 채워지도록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전해철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경찰의 국정원 사건 검찰 송치 기록에 따르면, 국정원 직원 김모씨와 외부조력 이모씨 등은 대선 100일 전인 지난 2012년 8월27일부터 12월11일까지 총3천399개 글에 추천-반대를 눌렀다. 해당 게시글은 대선과 MBC, 내곡동 사저 등 정치관련 내용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 의원은 “이들은 경찰 조사에서 다수의 닉네임을 사용하고 지속적인 조작을 위해 사설 IP변조프로그램을 이용해 중복 추천‧반대 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며 “이는 일정 시간대 찬성수가 급격히 누적된 글이 뉴스 첫 화면, 베스트 게시판 등으로 이동돼 노출 빈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점에 착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뷰스앤뉴스>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국정원 직원 김모씨는 11개의 닉네임을 사용했고, 이모씨는 15개, 또 다른 직원들도 2개와 31개까지 복수 닉네임을 사용해 찬반을 조작했다. 당시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찬성글은 집중적으로 반대를 눌러 노출도를 떨어뜨리고, 비방글은 찬성을 눌러 메인 화면에 올리는 방식이었다.

전 의원은 “익명의 제보자에 따르면, 국정원 사이버팀 70여명은 각자 포털사이트 및 게시판을 할당받아 작업을 진행했으며 대형 포털사이트의 경우 여러 명의 요원이 투입된다고 한다”며, 또 “활동비를 받는 외부지원자는 소위 ‘유급망‧특망’으로 분류되며, 국정원 요원과 같이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직원 수준의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이같은 정황 증거들은 국정원 사이버팀이 지난 대선 기간 이미 드러난 ‘보배드림’ ‘뽐뿌’와 같은 소규모 게시판 뿐 아니라, <네이버><다음><네이트> 등 주요 포털사이트 메인 화면 장악을 위한 조직적 활동을 전개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번 국정조사에서 대선 당시 광범위하게 이뤄진 국정원의 조직적 선거개입 진상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