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외근직원 ‘위치정보’ 수집까지

권영국 “‘위장도급’ 증거”…네티즌 “사람 기계취급 말라”

‘위장도급․불법파견’ 의혹이 제기된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업체 외근 직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21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업체 외근 직원들에게 작성토록 한 ‘위치정보 수집․이용동의서’를 통해 밝혀졌다.

2010년 작성된 동의서에는 “외근서비스 업무용 전용단말기(PDA)의 위치정보를 삼성전자서비스(주)에서 수집 및 이용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적혀 있으며, 위치정보 수집 주체도 삼성전자서비스 대표이사로 돼 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위치정보 수집 이유로 “외근서비스 업무의 효율화(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단축 등)를 들었다.

부산 지역의 협력업체 직원 ㄴ씨는 “협력업체 팀장이 기사들의 위치정보 화면을 보여준 적 있다”며 “본사에서 필요하다고 했는데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도 있어서 기분이 나빴지만 사인을 안하면 일을 못한다고 하니 서명했다”고 말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권영국 변호사는 <경향>에 “업무 배정부터 관리까지 모두 원청인 삼성전자서비스가 담당하는 것으로 위장도급의 증거”라고 말했다.

이같은 보도에 한 네티즌(김**)은 “외근기사는 활동지역이 정해져 있다”면서 “콜 수임시 콜센터에서 해당지역 주소입력하면 자동으로 해당지역에 등록된 기사가 뜹니다. 그러면 그 기사가 어디 있는지 상관없이 콜 지정되죠. 그러니까 저딴 건 필요 없다 이겁니다”라는 댓글을 달았다.

이밖에도 네티즌들은 “삼성의 그 빛나는 서비스정신...가난한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노동을 착취해서 이룬 성과다”(lice****), “이게 무슨 대기업이냐. 사람 기계취급 하지 말고 직원들 복지에나 신경 써라”(dhrj****), “위치추적 빠른 수리 다 좋은데 그걸 왜 협력업체에서 안하고 본사에서 하냐 이거야. 그리고 지역마다 인원이 배치 돼 있어서 위치추적을 안 해도 그닥 문제는 없을듯한데”(ds80****), “실시간 위치 추적이라는 게 범죄자 취급 하는 생각이 든다. 성범죄자들처럼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한다는 게 비상식적이다”라고 비난을 쏟아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