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진술서 누가 빼돌렸다고 볼 수밖에…윗선에 의한 무마 의심”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의 아들에게 학교폭력을 당한 피해 학생들의 진술서가 애초 하나고에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오마이뉴스 보도에 따르면, 하나고는 국회 교육위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보낸 답변서에서 “2012년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이 작성한 자료는 부존재하다”며 “당시 피해 학생 진술서는 본교에 접수된 문서가 아니고, 본교 교사가 피해 학생들에게 개인적으로 받은 것이었다. 즉 학교 측에 제출된 바가 없는 문서로 본교는 해당 진술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강민정 의원은 이에 대해 “피해 학생들의 진술서는 매우 심각하고 지속적인 학교폭력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며 “이 정도 사안이면 당연히 학교폭력대책자치위가 개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그런데도 이런 진술서가 하나고에 접수되지 않은 것 자체가 학교의 잘못이라고 볼 수 있다”며 “‘어떤 힘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의혹을 가지게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동관 특보의 방통위원장 내정 논란 속에서 국민 모두가 알게 된 피해 학생들의 진술서가 정작 학교 측에 존재하지 않는다니 어이없다”고 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23일 서면브리핑에서 “당시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르면, 학폭 사실을 알게 된 자는 학교 등에 즉시 신고하게 돼 있다. 학폭 사실을 신고하지 않거나, 학교 측이 신고를 접수하지 않았다면 법 위반”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학폭 피해 학생과 상담한 교사는 2012년 4월에 진술서를 받았는데, 학폭 내용이 심각해 교무회의 시간에 가해 학생의 처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교사의 신고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이 이를 접수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피해 학생들의 진술서를 누가 빼돌렸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권 대변인은 “특히 학폭 처리를 위한 기본적인 증거자료인 진술서가 남지 않은 것은, 윗선에 의한 무마가 아니고서는 설명하기 어렵다”며 의구심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이동관 특보와 김승유 당시 하나고 이사장을 향해 “학폭 피해 학생들이 작성한 진술서는 누가 어디로 감춘 것인가. 학폭위와 선도위가 열리지 않은 것과 진술서의 종적은 아무런 연관이 없나”라고 따져 물었다.
권 대변인은 “이명박 정부의 실세 중의 실세였던 이동관 특보와 이명박 대통령의 같은 과 동기였던 김승유 하나고 이사장이 얽힌 학폭 무마 사건은 불공정과 비상식의 상징”이라며 “까면 깔수록 충격적 사실이 드러나는 이동관 특보는 특보직 사퇴와 방통위원장 내정 철회가 답”이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