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대상으로 봐…‘눈엣가시’ 언론 미워하고 보복·장악하는 프로토콜 존재”
뉴스타파 임선응 기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기용하려는 것에 대해 “경력 채용”이라고 말했다.
‘이동관 언론 장악’ 문건을 보도한 임선응 기자는 15일 MBC 라디오 ‘신장식의 뉴스하이킥’에서 “(이동관 특보는)언론 장악 경력직이지 않은가”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뉴스타파는 지난해 4월 14일 <윤석열 특별고문 이동관 MB정권 언론 장악 지휘 기록물 첫 확인>에서 대통령기록물과 국가정보원 내부 문건에서 MB정권 당시 언론 장악의 증거를 찾아내 보도했다.
뉴스타파는 “이동관 특별고문 등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 중인 이명박 정권 핵심 인사들이 과거 청와대 재직 시절, 보도지침과 같은 성격의 ‘언론 통제 시스템’을 가동했던 사실이 청와대 기록물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또 “이명박 정부에서 자행된 언론 장악의 지휘자가 이동관”이었다며 “확인한 기록물은 20여건”으로 “이동관 특보가 수장으로 있던 청와대 대변인실과 홍보수석실이 생산하거나 국가정보원에 요청해서 만든 문건이었다”고 보도했다.
임선응 기자는 “이동관 대변인실에서 작성한 문건은 2008년 11월 26일~12월 10일까지 2주 동안 모니터를 한 내용”이라며 “‘문제보도’로 규정한 보도의 제목이 있고 ‘문제보도’로 찍은 사유들이 하나씩 적시돼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보도’로 규정된 20건 중 한 사례로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새벽시장을 찾았던 2008년 12월 4일자 보도를 소개했다.
당시 KBS와 SBS는 대통령 홍보 일색으로 보도했지만 MBC는 “상인들 사이에는 대통령이 그래도 새벽에 삶의 현장을 직접 찾아준 만큼, 앞으로 좋아질 거라는 기대감과 그저 행사 한번 하는 걸로 끝날 거라는 냉소가 교차한다”고 보도했다.
이동관 대변인실은 이를 ‘문제보도’라고 찍었고 그 사유를 “KBS와 SBS는 대통령이 체감 경기 어려움을 절감하는 표정이었다고 평가한 반면, MBC는 상인들의 기대감과 냉소가 교차했다고 보도”했다고 적었다.
임 기자는 “현장에서 평가한 사실을 그대로 실었는데 문제라는 것”이라며 “문제보도라지만 무슨 사유가 있는 게 아니다. 20건을 살펴보면 대체로 이런 식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건 누가 봐도 그냥 MBC가 밉구나, 미워서 이런 문건을 작성했구나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 “모니터에서 끝나지 않고 추가 조치, 통제나 장악까지 나아갔다”며 YTN 사례를 제시했다.
2010년 5월 제주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천안함 사건’이 논의됐는데 당시 이명박 정부는 “한중일 정상이 적절하게 대처하기로 합의했다”며 성과를 강조했다. 국내 언론은 그대로 보도했는데 외신은 “한국 정부가 중국을 설득하는 데 실패했으며 구체적 성과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임 기자는 “바로 다음 날 새벽부터 YTN에서 외신 내용을 전하기 시작하는데 2010년 5월 30일 오전 10시부터 사라졌다”며 “이날 청와대 홍보수석실이 작성한 기록물을 확보했다,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이 이동관 씨였다”고 말했다.
‘YTN 보도 리스트 (5.31/오후)’란 제목의 문건으로 ‘3국 정상회담 관련 AFP, AP, BBC, NHK의 부정적 반응’을 전달한 YTN과 MBN의 보도를 ‘문제 내용’이라고 적었다. 이어 ‘조치 결과’라며 ‘10시 뉴스 이후부터 해당 기사가 비보도(보도되지 않게 했다)’라고 썼다.
임 기자는 “이거는 압력 수준이 아니다. 언론을 모니터해서 보도에 개입을 한 것”이라며 “사실 통제라고 봐야 된다”고 말했다.
또 “본인들 권력을 비판하는 언론을 어떻게 바라봤는지”도 드러난다며 “권력에 비판적인 기자 혹은 언론을 ‘악의적’, ‘민심 호도’, ‘좌파’, ‘좌편향’이라고 표현한다”고 전했다.
그는 “진짜 섬뜩한 표현이 있다. 권력을 비판하는 언론을 ‘반정부’라고 규정한다”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이들을 방송에서 몰아내기 위해서 조치해야 할 실행 방안까지 국정원에서 제시”한다며 “‘경영진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자발적 시정 촉구’, ‘좌편향 진행자 퇴출 및 고정 출연자 교체 권고’, ‘개편을 계기로 문제 프로그램 폐지, 포맷 변경’, ‘건전단체, 보수언론 주도로 문제 프로그램의 편파보도 문제제기’ 등”이라고 했다.
임 기자는 “문건 첫 페이지 맨 오른쪽 위에 ‘청와대 홍보수석 요청’이라고 돼 있다.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이 바로 이동관 씨”라며 “그런 문건을 이동관의 대변인실, 홍보수석실에서 작성하고 국정원에 홍보수석이 이런 문건을 작성해달라고 요청까지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동관 특보의 언론관에 대해 임 기자는 “이동관 씨가 깊숙하게 개입한 걸로 확인된 언론 장악의 실체를 보면 언론을 통제의 대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모니터하고 눈엣가시인 언론을 그야말로 매우 미워하고 그리고 보복하고 장악하고 이런 일종의 프로토콜이 존재했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런 언론 장악에 깊숙하게 개입했던 인사를 다시 언론 관련 정책의 총괄책임자로 앉힌다는 것은 사실 누가 봐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유는 “둘 중 하나”라고 했다.
임 기자는 “진짜 사람이 없어서거나, 사실 경력채용을 한다고 저는 생각한다”며 “(이동관 특보는)언론 장악 경력직”이라고 잘라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