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원 씨 “보통 사람은 학교 이사장한테 전화 못 해…‘갑 중의 갑’”
지난 2015년에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 아들의 ‘학교폭력’ 의혹을 처음 폭로한 하나고 교사가 당시 재단 측의 무마가 있었다고 재차 밝히고 나섰다.
현재 중국에 파견 근무 중인 전경원 당시 하나고 교사는 YTN과의 인터뷰에서 김승유 전 하나고 재단 이사장과 이 특보 사이에 이뤄진 전화 통화 내용을 하나의 근거로 들며 “(당시 학교가) 상당히 투명하지 않은 방식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런 문제로 남게 됐다”고 지적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경원 씨는 2015년 8월1일, 김승유 전 이사장이 자신과 독대 자리를 만들어 별문제가 아니라는 식으로 말하면서 이 특보와의 통화 사실을 전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아들 전학을 늦춰달라는 이 특보의 요청이 있었고, 교장에게 관련 내용을 알아보라는 지시까지 했다는 사실을 김 전 이사장이 언급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8일 이동관 특보는 ‘아들 학폭 은폐’ 의혹 관련 입장문을 내고 당시 이사장과의 통화는 사실관계 파악을 위한 문의 차원이었다고 해명하면서 이사장이 학폭 무마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영향력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관련해 전경원 씨는 “보통 사람들은 학교에서 이사장한테 전화 못 한다. (정말 억울하면, 문제가 있으면 담임한테 전화를 하지) 누가 이사장한테 전화를 하나. 갑 중의 갑이라고 본다”며 ‘을 중의 을’이라는 이동관 특보의 발언을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동관 특보 측은 YTN에 전경원 씨의 주장을 사실로 단정해서는 안 되고, 본인의 말을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면서 문의 차원이었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YTN은 “앞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전화통화 사실은 인정했던 김 전 이사장은 독대 당시 3년 넘게 지난 사건을 평가했다는 건 납득할 수 없다면서 교장에게 학사 관련 지시를 했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고 전했다.
한편, 오마이뉴스는 12일 <이충재의 인사이트> 코너에서 “법무부와 대통령실이 이 특보 아들 학폭 사건에 대해 얼마나 ‘현미경 검증’을 했을지 의문이라는 견해가 여권에서도 제기된다”며 윤석열 정부의 인사검증 시스템을 지적했다.
오마이는 “한동훈, ‘이동관 검증’ 제대로 했을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석열 정부 고위공직자 인사검증은 법무부가 1차 검증을 하지만 최종 검증은 대통령실에서 이뤄진다”며 “문제는 인사시스템을 움직이는 사람이 윤 대통령이 근무했던 ‘검찰 출신’ 인사들로 채워져 검증 기관 간 교차검증이 어렵다는 점”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인사 추천의 핵심 업무는 검찰 출신 복두규 대통령실 인사기획관과 이원모 인사비서관이 맡고, 1차 검증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차 검증도 검찰 출신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이 주도하고 있다”고 부연하고는 “만일 이 특보에 대한 인사검증이 문제가 된다면 대통령실도 공동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고 꼬집었다.
오마이는 “이 특보가 방통위원장에 지명되면 아들 학폭 논란은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법무부와 대통령실의 인사검증도 같이 도마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는 “중요한 건 투명하고 떳떳한 인사검증의 기준과 절차”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