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출입기자 “기자들에게 이런 식인데…언론 검열 서막 오른 느낌”
윤석열 당선자가 ‘소통’을 강조하고 있는 와중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현장 기자들의 취재를 제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인수위는 18일 현판식을 하며 공식 출범했다. 이날 미디어오늘은 “현판식 현장 일정에 대한 충분한 소통이 부족했던 상황에서 출입기자들이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 의견을 제시하자 인수위 측은 이에 대한 응대 없이 메시지를 가리는 데만 급급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인수위는 당초 이날 오전 10시30분 현판식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인수위 공식 출범을 알리는 행사인 만큼 출입기자 다수가 현장에 몰렸는데 인수위 측은 갑작스레 ‘풀 취재’라고 공지했다. 현장을 찾은 출입 기자들은 이런 공지를 현장에 와서야 들었고, 풀단 취재로 운영되다 보니 ‘풀 기자’가 아닌 취재진은 현장을 찾았음에도 길 건너에서 현판식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이런 불만은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을 통해서도 표출됐다. 오마이뉴스 기자는 “현장 풀을 운영할 거면 일정 공지 때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순서로 풀을 짜서 돌릴지 미리 공지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현장에서 강 건너 불구경하듯 길 건너에서 현판식을 봐야 하는 기자들은 무슨 죄냐”고 지적했다.
미디어펜 기자는 이어 “찬성한다. 더불어 (풀단 운영을 할 것이면) 사진 마감을 빨리해달라”며 “기사가 나가고 한참 후에 사진을 몰아오는 것은 활용 가치가 없다”고 했다.
그러자 채팅방 관리자가 해당 메시지를 가리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에 MBC 기자가 “소통방인데 기자들이 의견을 조금 올렸다고 메시지를 가리는 게 소통인가”라고 꼬집자, 이 메시지 역시 바로 가려졌다.
미디어오늘은 “현장을 찾은 기자들 사이에서는 이보다 더한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고 전했다.
인수위를 출입하는 A기자는 “언론 검열의 서막이 오른 느낌이다. 국민과의 소통을 늘린다는 명목으로 수백 수천억 원을 들여 집무실 용산 이전을 검토하기 전에 국민 중 한 사람들인 기자와의 소통부터 똑바로 하길 바란다”며 “기자들에게 이런 식인데 그 어떤 언론인이 국민과의 소통을 늘리겠다는 당선인 말에 공감대를 형성하겠는가”라고 질타했다.
기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자 김은혜 인수위 대변인은 출입 기자들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당선과 동시에 통의동으로 이전하면서 일정 공개가 제한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했고 인수위 출범 과정을 취재하시는 기자들의 장소상 제약이 많았다. 취재 지원이 충분치 못해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인수위 기자단 등록이 시작되면 소통방도 다시 잘 차려 인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당선자는 이날 인수위 첫 회의를 주재하고 “정부 초기 모습을 보면 정부 임기 말을 알 수 있다고 한다”며 “항상 국민의 목소리를 잘 경청하고 국민 눈높이에서 문제를 풀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 당선자는 또 “인수위에서 정부 각 부처 공직자들로부터 업무 보고를 받을 때에도 우리가 늘 많은 공직자와 함께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시고 이분들이 편안하게 우리와 함께 새 정부의 국정 방향 설정에 동참하게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대해달라”고 했다.
그는 “인수위의 매 순간순간은 국민의 시간”이라며 “책임과 사명감을 가지시고 우리 미래를 준비함과 아울러서 국민이 먹고사는 민생문제를 챙기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