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보도…국정원‧영남대 출신 김용판 사건발생 처음부터 ‘외압’
지난해 12월 국정원 직원 댓글 사건 당시 경찰이 압수수색 신청을 검토하려 하자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권은희 수사과장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JTBC가 보도했다.
대선을 앞둔 지난해 12월 11일 경찰은 민주당의 신고로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의 오피스텔에 출동했지만 김씨는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을 밝히기 위해서는 자료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었지만 김씨가 문을 잠그고 열어주지 않아 다음날인 12일 경찰은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었다.
이때 김용판 전 청장이 권은희 수사과장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JTBC는 31일 보도했다.
김 전 청장은 권 과장에게 전화를 걸어 “정식 수사가 아닌 내사 중인데도 압수수색이 가능하느냐”고 물었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JTBC는 전했다.
당시 권 과장은 이 전화를 받고 압수수색에 부담을 느꼈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 과장은 앞서 지난 9일 “사건 수사를 진행하면서 분명히 부당하다고 느낀 점이 있었고 그 부분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문제 제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었다.
권 과장은 JTBC의 확인 취재에 김 전 청장과의 통화 내용을 인정하며 이미 검찰에 더 상세히 진술했다고 말했다. 김 전 청장에게 수 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JTBC는 보도했다.
김 전 청장은 국정원에서 이직했으며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으로 있던 영남대 출신이다. 김 전 청장은 지난해 12월 16일 대선후보 3차 TV토론 직후인 밤 11시 자신이 중간 수사 결과를 서둘러 발표하게 했다고 밝혀 선거개입 논란을 자초했다.
- 김용판 ‘국정원 사건’ 권은희 과장에 직접 전화…사실상 외압
- 경찰 “실수로 국정원 자료 디가우징”에 네티즌 분노
- 김용판 ‘국정원 댓글’ 수사 축소 지시 시인
- “檢, 각종 물증통해 원세훈 댓글작업 지시 상당부분 확인”
- 檢, ‘댓글제보’ 前국정원 직원들 집 압수수색‧출금
- 시민단체 ‘국정원 수사 축소‧은폐’ 警김기용‧김용판 고발
- 유시민 “권은희, 경찰 자존 지키려는 듯…이겨내리라 믿는다”
- “‘참경찰’ 권은희에게 박수를”…네티즌 응원 봇물에 서명운동까지
- 어버이연합, 국정원 지원 부인…서울시앞 ‘폐지시위’
- “박원순 아들 병역 고발, ‘국정원 추정문건’ 지침대로”
- 조국‧김진애 “문재인‧김한길‧안철수‧노회찬 강한 행동 보고파”
- 경찰, 압수수색 현장서 ‘증거인멸’…경찰 ‘조직적 관여’ 가능성 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