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보도…“한국대학교육연구소, 국정원 압수수색 당해”
진선미 민주당 의원이 ‘좌파의 등록금 주장 허구성 전파로 파상공세 차단’이라는 제목의 국가정보원 작성 추정 문건 내용을 19일 공개한 가운데 해당 문건이 작성된 후 ‘반값등록금’ 운동에 나선 한 단체가 압수수색을 당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해당 문건 내용을 단독보도했던 <한겨레>는 20일자 9면을 통해 “문건이 작성된 이후 국정원이 ‘반값 등록금 운동’을 차단하고 이를 ‘종북·좌파’와 엮기 위한 활동을 벌인 정황도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2011년 1월 ‘미친 등록금의 나라’라는 책을 내는 등 반값 등록금 운동을 활발하게 벌여온 한국대학교육연구소는 이 문건이 작성되고 40일 가량 지난 2011년 7월 9일 국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진 의원은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해당문건과 관련, “지난 2011년 6월 1일 작성된 것”이라며 “특히, 이 문건의 상단부에는 이 문건을 작성한 사람의 실명과 함께, 직원 고유번호, 휴대전화 번호를 비롯해 소속 조직의 명칭까지 기재되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한국대학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왕재산 사건이 우리 연구소 연구원 한명과 관련 있다며 국정원이 2시간 가까이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며 “그러나 결국 아무런 증거를 찾지 못했다. 해당 연구원은 왕재산 사건이 항소심까지 끝난 지금까지 기소를 당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당시 압수수색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최근까지도 이해할 수 없었다”며 “이번에 드러난 문건을 보니 그동안의 의문이 풀리는 것 같다. 반값 등록금 운동을 위축시키기 위한 압수수색이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한겨레>는 “이미 공개된 ‘박원순 제압 문건’과 관련해서도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보수단체의 집회 △언론·교수·민간단체 등의 서울시 비판 성명 및 칼럼 △박 시장의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계획에 대한 정부 예산 지원 거부 등의 계획이 실제로 시행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국정원 측은 ‘반값등록금 문건’에 대해 “국정원에서 작성했다고 해도 민감한 내용의 문서를 아직까지 남겨뒀을 가능성은 적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앞서 국정원은 이른바 ‘박원순 문건’에 대해 “문서고와 전산기록에는 없으나 해당 문건이 보고 후 바로 파기됐을 가능성도 있다”며 “내용적으로 보면 국정원 문건으로 보이는 점도 있어 자체적으로 정밀분석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밀분석 결과가 나와도 문건이 국정원 것인지 아닌지 확실한 결론을 내리긴 힘들다”며 “진짜일 가능성과 가짜일 가능성이 몇 퍼센트 정도인지만 밝힐 수 있다는 것이 현재 기술팀의 의견”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