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측근비리 수사’, 김학의 사건과 비슷.. 경찰 ‘유죄’→검찰 ‘무죄’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은 경찰의 김기현 당시 울산시장 측근비리 수사가 ‘청와대 하명’이라는 주장에 대해 “경찰이 청와대로부터 이첩 받은 문건의 원본을 공개하면 된다”고 말했다.
백 전 비서관은 28일 입장문을 내고 김 전 시장 관련 제보를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에게 전달했다는 보도에 대해 “반부패비서관실로 넘겨졌다면 울산사건만을 특정하여 전달한 것이 아닐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사건이) 정치적 사안이 아니라 통상적인 반부패 의심사안으로 분류, 일선 수사기관이 정밀히 살펴보도록 단순 이첩한 것 이상이 아니라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비리 사안은 김학의 전 법무차관 사건처럼 경찰에서는 유죄, 검찰에서는 무죄로 판단한 사건”이라며 “검찰은 경찰의 유죄 판단이 잘못된 것이라는 근거를 밝히면 의혹이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 전 비서관은 ‘김기현 측근비리 수사’ 관련 의혹이 불거진 시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 사건으로 황운하 현 대전경찰청장이 고발된 것은 벌써 1년 전 일”이라며 “그러나 검찰은 지난 1년 간 단 한차례의 참고인, 피의자 조사도 하지 않고 있었다”고 되짚었다.
이어 “황운하 청장의 총선출마, 그리고 조국 전 민정수석의 사건이 불거진 이후 돌연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첩하여 이제야 수사하는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의혹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고는 “최초 첩보 이첩 과정과 최초 수사가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어떤 수사나 조사도 하지 않았던 사안을 지금 이 시점에 꺼내들고 엉뚱한 사람들을 겨냥하는 것이 정치적이 의도가 아닌지 의심이 들 뿐”이라고 덧붙였다.
관련해 황운하 청장도 전날 페이스북에 “이미 오래 전 확인되었던 사실들이 왜 이제야 마구 부풀려져서 가짜뉴스와 함께 보도되는지 의문이 생긴다”고 적었다.
황 청장은 “억지로 의혹을 만들어보려고 안달이 난 모습들”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일단은 모두 냉정을 되찾고 차분히 검찰수사를 지켜보면 좋겠다”고 전했다.
그는 “누차 밝힌 바대로 당장이라도 검찰수사를 받을 용의가 있다”고 밝히고는 “누구든 쓸데없이 나라를 시끄럽게 하고 불신과 혐오를 키우는 악성 여론몰이를 자제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