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한 경찰청장 ‘해킹 北소행 발표 성급’ 발설자 색출 지시 논란

언론노조 “朴정권 입맛 맞는 보도 위해 내부자 단속 전략인 듯”

경찰이 “민·관·군 사이버공격 합동대응팀이 3·20 방송사·금융기관 해킹 사건을 북한 소행으로 단정한 것은 성급했다”는 의견을 언론에 전한 내부자를 색출하겠다고 나섰다. 내부 감찰이 일상화돼 언론 자유가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이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은 가중되고 있다.

23일 <한겨레>에 따르면, 이 청장은 22일 경찰청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직원들을 감찰했다. 수사중인 사안인데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공식 창구가 아닌 곳으로 나가서 그랬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앞으로도 비슷한 일이 생기면 감찰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사안에 따라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은 큰 파장을 미칠 수 있어서…”라며 감찰 의사를 내비쳤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에 대해 언론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취재하는 것은 언론 자유의 영역에 속한다. 최근 ‘고위층 성접대 의혹’ 수사와 관련해서도 경찰은 언론 취재에 비공식적으로 협조했고 이를 근거로 언론이 속보들을 쏟아냈지만 이에 대한 감찰은 진행되지 않았다.

이 청장이 유독 “3․20해킹 북소행 발표 성급” 의견에 문제삼는 것은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이 불편해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경호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한겨레>에 “박근혜 정부에 불리한 여론이 만들어지는 것을 조기 차단하고 정권 입맛에 맞는 보도만 나오도록 내부자를 단속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내부 감찰이 일상화하면 언론 자유가 위축될 수 있어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번 감찰은 직원들의 휴대전화까지 압수해 통화내역을 살펴보는 등 고강도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한겨레>에 “직원의 동의를 받아 휴대전화 통화 내역을 살펴봤더라도 강제성을 띨 수밖에 없다. 인권을 최우선시해야 하는 경찰 조직의 수장이 스스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소지가 있는 감찰을 지시한 것은 매우 유감스런 일”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