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교사들, 교육청에 문제 제기.. 과거 수강생도 ‘너무 편향적’ 지적
부산 지역 A 고등학교 교사가 여름방학 특별 강좌에 극우성향의 강사진을 대거 포함, 해당지역 일부 교사들이 교육청에 문제를 제기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지난 13일 <YTN> 보도에 따르면, 문제가 된 강좌는 부산시교육청이 접수해 검토하고 있는 여름학교 강좌 중 하나로, 고등학생에게 경제를 재미있게 가르치겠다며 한 교사가 기획한 것이다.
해당 강좌의 강의 계획서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인민재판’이라는 주장을 영화에 담은 최공재 감독, 세월호 희생자를 조롱했다는 비난을 받은 웹툰 작가 윤서인 씨, 탄핵 국면에서 박 전 대통령과 단독 인터뷰를 진행한 인터넷 방송 ‘정규재 TV’의 정규재 한국경제 논설 고문 등이 강사로 포함됐다.
부산지역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경제학과 관련 없는 강사진이 태반”이라며 “성향을 넘어서 편파적이고 극우적인 사람들이다. 건강한 민주주의를 배워야 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걱정이 많이 된다”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은 논란이 된 이 강좌에 지난해에도 강사비와 교재비 등으로 280만 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YTN>은 “(교육청이)예산 지원은 하면서도 어떤 강사들이 무슨 강의를 하는지 제대로 살피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취재를 시작하고서야 검토를 하겠다는 답변을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15일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강좌 개설을 희망하는 분들로부터 강좌를 신청 받은 게 95개다. (문제가 된 강의는)그 중 하나”라며 “현재 95개 강좌에 대해 학교에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 결과 등 선정기준에 따라 19일 이후 선정위원들을 구성, 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강좌의 강사진이 ‘극우 편향적’이라는 교사들의 문제 제기에 대해 이 관계자는 “일부 선생님들의 우려를 (사전)모니터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모니터링 결과도 (강좌 선정시)위원들이 참고하지 않겠나싶다”고 말했다.
“신뢰성 있는 강좌 선별 시스템 도입 시급…학부모‧시민단체 참여 고려해야”
교육청은 교사들의 문제 제기를 사전 모니터링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는 일부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진 만큼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교조 부산지부 임정택 정책실장은 ‘go발뉴스’에 “교육청이 예산을 지원하고, 교육청의 공문을 본 학생들이 신청하는 강좌인 만큼 신뢰성 있는 강좌나 강사들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교육청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강좌가 개설된 의미, 강사 구성, 강의 내용 등에 대한 모니터 작업에 교육청 내부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부모나 시민단체 등 외부에서도 참여할 수 있도록 심사 방향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에 문제가 된 강좌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SNS를 보면, 과거 두 학생이 ‘너무 편향적이지 않냐고 문제제기 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강연내용 자체가 학생들이 느끼기에 얼마나 불편했으면 편향적이라고 했을까. 얼마나 많은 부적절한 강좌가 걸러지지 못한 채 학생들에게 노출됐을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해당 강의를 계획한 교사는 <YTN>에 ‘정치 성향과 관계없이 강사진을 꾸렸고 강의 내용 또한 시장 경제로만 구성됐다’며 ‘지난해 아무 문제없이 심사를 통과했다’는 입장이다. 특히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서는 ‘정권이 바뀌면서 사회적 잣대가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해당 교사는 자유경제원이 주최하는 행사에 토론자로 참여하고 자유경제원이 ‘편향과 거짓으로 점철된 언론, 왜곡된 신념을 아무 것도 모르는 학생들에게 주입하려는 교육을 고발한다’는 취지로 개설한 ‘자유 북소리’ 코너에 칼럼을 기고 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