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폭행’ 김승연에 일침?…주진형 “한화, 조직폭력배 운영 방식 똑같아”
주진형 전 한화증권 대표이사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증언했다.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1차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주 전 대표는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당시 국내에서 유일하게 합병 반대 보고서를 낸 이유와 관련해 “국내 언론사나 우리나라에서 발언권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눈을 감고, 입을 닫고 찬동하는 걸 보고.. 증권회사까지 옹호하는 것을 보고 한국인으로서 창피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삼성그룹 지인 4명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처음에는 의결권을 위임해 달라고 했다”며 “당시 저희 회사는 삼성물산 주식을 0.02%밖에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의결권을 위임해달라고 전화가 왔고, 싫다니까 찬성해달라는 전화가 왔고 그것도 거절하자 ‘정말 그럴거냐’ 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이 “삼성물산 합병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한화증권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했는데 자세히 설명해달라”고 요구하자, 주 전 대표는 “1차 보고서가 나가고 난 다음에 (한화그룹)경영기획실장인 금춘수 사장이 ‘한번은 그렇다 치자 그렇지만 당신 때문에 삼성의 장춘기로부터 불평 전화를 들었다. 다시는 쓰지 않겠다고 약속하라’고 해서 그 약속은 지키지 못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2차 보고서가 나간 후에 삼성생명의 당시 대표이사였던 김현배 부회장이 직접 아침에 전화하더니 급하게 오셔가지고 ‘두 번째 보고서 나간 거 때문에 구조본에서 굉장히 기분이 격앙돼 있다. 이렇게 되면 주 사장이 물러나야 할 거다’라고 해서 ‘제가 먼저 사임할 일은 없으니 사임하게 하려면 법적인 절차를 밟으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손 의원이 “0.02%의 주식만을 보유했는데 한화에서는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한 것 같냐”고 묻자, 주 전 대표는 “우리나라 재벌들이 다 그렇지만 한화그룹에서는 기본적으로 조직폭력배들이 운영하는 방식과 똑같아서 누구라도 한마디 거역하면 확실하게 응징해야 다른 사람들이 따라간다고 생각하는 그런 논리가 있을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했다. 고발뉴스 생중계를 통해 청문회를 지켜본 네티즌들은 주 전 대표의 ‘조직폭력배’ 발언에 화면에 잡힌 김 회장의 얼굴을 관심있게 지켜보기도 했다.
김승연 회장은 지난 2007년 차남인 김동원 현 한화생명 상무가 서울 북창동의 한 술집 점원에게 맞은 것에 격분, 해당 점원을 폭행, 물의를 일으켰다. 법원은 김 회장에게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3년, 사회봉사명령 200시간을 선고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