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결재권자 돌연 美 출국.. “자금 출처 못밝히면 국정원 자금일 가능성 커”
박근혜 대통령도 직접 참여한 전경련 주도의 ‘경제입법 촉구 서명’ 때도 어버이연합이 ‘탈북자 알바’를 동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26일 <JTBC>는 “어버이연합 회원과 탈북자들은 전국 곳곳에서 서명운동을 벌여 1만 명의 서명을 모아 대한상공회의소에 냈다”며 “이 과정에서 어버이연합이 탈북자 등에게 일당을 주고 서명운동을 진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어버이연합 내 탈북단체는 서명운동 과정에서 캠페인 활동을 한 사람들에게 ‘일당을 나눠준 것은 맞다’면서도 정부의 지시를 받거나, 경제단체와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앞서 <JTBC> 보도를 통해 전경련이 어버이연합에 지난 2012년부터 2014년 말까지 3년 동안 총 5억 2000여만 원을 우회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그런데도 전경련은 일주일 넘게 침묵을 지키고 있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심지어 결재권자로 지목된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이 26일 돌연 미국으로 출국했다. 전경련 측은 “이 부회장의 출장은 예정돼 있던 일정”이라며 “회의 앞뒤로 전문가 미팅 등 일정이 있어 정확한 귀국 일정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어버이연합과 전경련의 수상한 돈거래 뒤에 국가기관, 즉 국정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 상황이다.
정의당 노회찬 당선인은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어버이연합이 지금 문제의 핵심이 아니다”며 “이런 민간인단체를 어떤 불법적인 정치적 목적 하에 불법적인 수단을 동원해서 이용한 그 단체가 국가기관이라면 이건 보통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노 당선인은 또 “전경련 문제만 하더라도 전경련이 사태의 주역인지 아니면 들러리인지도 더 조사돼야 한다”며 “전경련이 아무런 변명조차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 더욱더 전경련 조차도 이름이 빌려지거나 동원되는 그런 측면에서 의혹을 사고 있다”고 말했다.
즉, 국가기관 기획 하에 전경련을 자금책으로 동원하고, 어버이연합을 행동책으로 동원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노 당선인은 “전경련은 어차피 어쩔 수 없이 내키지 않으면서도 동원된, 그런데 자금책이라고 하지만 자금이 거기로 흘러들어가는 것처럼 위장되었을 뿐, 실제 자금의 원천은 다른 곳일 수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전경련이 제대로 누가 낸 돈이라는 것을 밝히지 못한다면 그건 국정원 자금일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국가정보원이 이명박 정권 때부터 보수단체들의 활동을 사실상 지휘해온 정황이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났다.
25일 서울고법 형사7부(재판장 김시철) 심리로 열린 ‘국정원 댓글사건’ 원세훈 전 국정원장 파기환송심에서 검찰은 “국정원 심리전단 소속 직원 박모씨가 보수 우파단체와 청년 우파단체를 지원하고 지도하는 활동을 벌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