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용지 효과’ 물건너가…노회찬 “이상태면 새누리 170석 이미 확보”

문성근 “단일화 거부 이적행위”…조국 “‘유권자 단일화’로라도 의회독재 막아야”

중앙일보 4일자 4면 <서울 13대 8..경합 27곳 야권 단일화 땐 13대 35로 역전> ⓒ 중앙일보PDF
중앙일보 4일자 4면 <서울 13대 8..경합 27곳 야권 단일화 땐 13대 35로 역전> ⓒ 중앙일보PDF

야권단일화가 ‘투표용지 인쇄 시점’을 넘기며 수도권 대혼전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노회찬 정의당 후보는 4일 “야권 분열 상태가 변함없이 간다면 새누리당이 170석 이상은 이미 확보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우려했다.

노회찬 후보는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180석이 무너지고 개헌 저지선, 국회 선진화법을 개정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무너질 가능성도 우려되는 현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반면 노 후보는 더불어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에 성공해 1위로 치고 올라갔다. 조선일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남 창원성산에서 노 후보(39.9%)는 새누리당 강기윤 후보(29.1%)를 10.8%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조선일보 2면 <노회찬 39.9 강기윤 29.1.. 엄용수 34.3 조해진 24%> ⓒ 조선일보PDF
4일 조선일보 2면 <노회찬 39.9 강기윤 29.1.. 엄용수 34.3 조해진 24%> ⓒ 조선일보PDF

투표용지 인쇄에 들어간 것에 대해 노 후보는 “과거에 투표 용지가 인쇄된 뒤에 단일화를 해본 경험이 있다”며 “그런 경우에 표 유실이 많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도 노 후보는 “단일화 논의가 효과는 반감되겠지만 단 몇표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민의 날개’ 문성근 대표는 트위터에서 “호남 유권자께, 수도권에서 ‘국민의당 단일화 거부’가 어떤 결과를 낼지 잠이 오지 않는다”며 “이건 ‘이적행위’”이라고 맹비난했다.

문 대표는 또 “박지원 천정배 후보께, ‘총대선 승리 위해 탈당‧창당한다’셨지요?”라며 “이게 이기는 길입니까”라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를 응원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했다.

 

앞서 김무성 대표는 1일 자당 후보 지원 유세에서 야권후보단일화 압박과 관련 “안철수는 절대 안 넘어갈 것”이라며 “넘어가면 이 사람은 죽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대표는 “당을 만들었으면 선관위에서 칠십 몇 억의 거액을 받았으면 성과를 못 내더라도 다음 선거에서 자기들 정체성을 다시 세우는 것이 제대로 된 정치이지 그렇지 못하면 제대로 된 정치가 아니다”고 안 대표의 ‘연대불가 입장론’을 독려했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 ‘유민아빠’ 김영오씨는 “여권에 참패하고 난 후 3당 체제가 무슨 의미가 있나”라며 “야권 단일화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국민보다 개인의 정치적 욕심으로 밖에 안보인다”고 비판했다.

청년비례대표 후보 탈락 후 더불어민주당 ‘더컸유세단’에서 백의종군하고 있는 김빈 빈컴퍼니 대표는 “단일화 해야 한다”면서 “단일화가 안되더라도 반드시 유권자들께서 표를 통해 단일화를 해주세요”라고 호소했다.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3일 페이스북에서 “이제 유권자에 의한 ‘아래로부터의 단일화’ 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새누리 160석 이상 석권을 반대하는 수도권 야당 지지자 분께, 4월 13일 당일 정당투표는 지지정당을 찍더라도 후보는 당선가능한 야권 후보를 찍으시라고 간곡히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 교수는 “야권 지지자 중 새누리만큼 더민주를 증오하는 분도 계실 것이다”며 “이런 비판을 조금이라고 불식하기 위해서는 더민주 지도부의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더민주에 주문했다. 그는 “새누리 의회지배를 막기 위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며 “‘최악’은 막고 보자”고 호소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신의진 의원이 지난 2월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과에서 '국회선진화법'수정법안인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부의 요구서를 제출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새누리당 권성동, 신의진 의원이 지난 2월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과에서 '국회선진화법'수정법안인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본회의 부의 요구서를 제출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