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MB靑, 이재명 내사후 주민소환 유도 검토”

이재명 “지방정부 전복 공작”…임태희 “사실 아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가 민주통합당 소속 이재명 성남시장을 내사한 뒤 보수단체를 통해 주민소환을 유도했다는 증언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20일 <한국경제>는 1면에서 “여당인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이 참패한 2010년 6월 지방선거 1년 뒤인 2011년 6월. 당시 임태희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40쪽 분량의 보고서를 올렸다”며 “보고서에는 이재명 성남시장(민주통합당) 취임 후 시의회와 갈등으로 파행을 겪던 성남시 ‘현황 및 원인 분석’이 담겨 있었다. 청와대와 행정안전부, 경기도는 2011년 초 성남시에 대한 내사에 들어갔고 2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당시 조사를 지휘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 시장 취임 이후 성남시정의 파행이 반복된다는 지적에 따라 청와대 주도로 내사가 이뤄졌다”고 19일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또 성남의 보수 시민사회단체를 움직여 주민소환 투표를 유도한다는 방법론까지 거론됐다가 사회적 파장과 정치적 역풍을 고려해 내부 논의 수준에서 끝났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재명 성남시장은 20일 트위터에서 “그렇게 털었는데도 먼지라도 있었으면 전 죽었겠죠? 국가권력 동원해 지방정부 전복 공작하는 청와대”라고 비난했다. 그는 “민간인사찰도 모자라 민선 지방정부까지 사찰하나?”라고 분노했다.

이 시장은 <연합뉴스>에 “정치권에 배후가 있을 것으로 의심할 만한 동시다발적인 소환 움직임이 있었다”며 “2010년 7월 취임 이후 여권 성향 인사가 대표로 있던 민간기업에서 주민소환운동 조직이 구성됐다는 얘기를 들었고 여권 정치인과 가까운 일부 단체 대표가 집회에서 주민소환을 주장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주변 인물 증언 등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주민소환을 유도하는 정치권 사령탑(배후)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주민소환 유도설이 사실이라면 청와대가 민선 지방정부의 전복을 시도한 것이고 권력을 이용한 정치공작이자 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한 것으로 대응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소환 유도설의 당사자로 거론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청와대의 지자체 갈등 개입설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임 전 실장은 “규정상으로나 관례상 청와대는 지방자치단체 문제에 개입할 수 없게 돼 있고 이 원칙은 대통령실장 재임 때 예외 없이 적용됐다”며 “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이명박 정부의 명예와 도덕성, 나아가 대한민국의 국격을 훼손할 수 있는 대단히 심각한 사안이어서 허위 사실과 증언을 근거로 작성된 보도에 대해 언론중재위 제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