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 “대통령과 정부, 12.28 합의 무효 선언해야 마땅”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경순 할머니가 20일 낮 12시 91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올 들어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는 지난 15일 별세한 최모 할머니에 이어 김 할머니가 두 번째다.
김 할머니는 일제 강점기 일본 히로시마 위안소로 강제동원, 이 당시 병을 얻어 한국으로 돌아왔다. 김 할머니는 1992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에 위안부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활동해왔다.
김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생존자는 44명(국내 40명/국외 2명)으로 줄었다.
김 할머니 별세 소식에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이제)현재 44분의 할머니들만이 저희 곁에 남아 계신다”고 전하며 “이런 상황에서도 일본의 위안부 망언은 계속되고 있다. 우리정부의 졸속 위안부 협상 무효화와 일본의 진심어린 사죄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서영교 의원도 “박근혜 정부의 졸속합의로 일본의 제대로 된 사과도 받지 못하고 눈을 감으신 김경순 할머니께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는 “책임도 인정하지 않고, 배상할 의지도 없는 일본 정부에 대해 우리 정부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도대체 어느 나라 정부입니까”라고 질타했다.
이어 “대통령과 정부는 12.28 합의의 무효를 선언해야 마땅하다”며 “그것이 오늘 돌아가신 김경순 할머니를 비롯한 위안부 어르신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일갈했다.
정의당 김제남 의원은 “김경순 할머니의 빈소에 다녀오며 죄스러움과 안타까운 마음에 저려온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끝내 못 보시고 가신 김경순 할머니, 이제 별이 되셔서 편히 잠드소서”라는 애도의 글을 남겼다.
한편, ‘미디어몽구’ 김정환 씨는 “김경순 할머니 빈소가 썰렁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의식 있는 대학생들이 단체 조문을 왔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는 대학생 동아리 ‘평화나비’의 조문 소식을 전했다.
이들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소녀상 이전 반대와 ‘한일 위안부 협상’ 전면무효를 외치며 노숙농성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12월30일 시작된 대학생들과 시민들의 노숙농성은 21일로 53일째를 맞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