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정부, 소녀상 이전 검토?…사실이라면 국론분열 수준”

野 “한일 양 정부, 합의에 연연해 정치적 야합?…국민적 저항 직면할 것”

“소녀상 이전 검토? 보도 사실이라면 국론분열 수준”

우리 정부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 이전을 위한 검토를 시작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뉴시스> 등에 따르면, <요미우리>신문은 26일 한국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8일 한일 외교정상회담에 진전이 있으면 한국 정부가 소녀상 이전을 위해 시민단체 설득을 시작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소녀상 이전 장소로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서울 남산에 건설 예정인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강하게 반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윤미향 상임대표는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 정부와 피해자, 시민단체가 그간 한목소리를 내왔다”면서 “양국간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시민단체에 함구하면서 일본언론에 이렇게 얘기했다면 큰 문제다.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국론분열 수준”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윤 대표는 또 “소녀상은 이미 정대협도 어쩌지 못하는 공동의 존재가 됐기에 철거하거나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기억의 터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추진되는 공간인데 이렇게 연관지어지니 어이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표는 “일본 방송을 통해 방한 사실이 먼저 알려졌다는 것은 외교적으로 옳지 않고, 일본에 우리가 전략적으로 이용당한다는 느낌이 든다”면서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 중 새로운 것은 기금 액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사진제공=뉴시스>
<사진제공=뉴시스>

“일본 측, 위안부 문제 종지부 위해 美정부 성명 발표 검토”

일본 언론들은 지난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갑작스레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에 위안부 문제 최종 타결을 위해 연내 방한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한국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오는 28일 기시다 외무상은 서울에서 윤병세 외무부 장관과 회담을 하게 됐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가 이번 회담에서 미국 정부의 성명 발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 정부의 성명 발표를 검토하는 것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한국이 다시 문제 삼지 않도록 확실히 마무리 짓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NHK>에 따르면, 기시다 외무상은 이번 회담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재산 청구권 문제는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기금 창설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이번 회담에서 제안할 ‘새로운 기금’의 규모는 1억엔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기금의 규모를 둘러싸고 수십억엔(수백억 원)을 요구하고 있는 한국 측과 큰 차이가 있어 계속 조율하고 있다고 <NHK>는 전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사진제공=뉴시스>

“日, 정치적‧도의적‧법적책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해야”

일본 측은 ‘위안부’ 문제를 되풀이하지 않는다는 한국 정부의 확약과 서울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 등을 거듭 요구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번 한-일 외교장관 회담과 관련해 “한일 양 정부가 ‘합의’에 연연해 또 다시 정치적 야합에 그친다면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희용 부대변인은 26일 현안 브리핑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해결의 핵심은 일본 정부가 정치적, 도의적 책임뿐만 아니라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하는 데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또 “식민지배의 모든 법적 책임은 1965년 한일협정으로 종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으로는 양국간 과거의 상처를 한 치도 치유할 수 없다”며 “일본정부가 진정으로 사죄하고 모든 책임을 지겠다면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 등의 무리한 요구는 있어서도,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