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교수 160명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덕성여대·부산대 이어 반대 성명 발표..‘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국정화?’

덕성여대와 부산대에 이어 고려대 교수 160명도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16일 고려대 한국사학과 정태헌 교수 등 고려대 교수 6명은 서울 고려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주의와 헌법 가치의 파괴, 국격 하락과 국론 분열을 야기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160명의 고대 교수들은 성명서를 통해 “검인정으로 출발한 한국의 근대 교과서 발행 제도가 국정으로 바뀐 것은 유신 정권 하에서였다. 그러나 수년 전부터 일각에서 제도적으로 수정 보완이 가능한 검정 교과서를 일방적으로 매도하더니 결국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폐지되고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까지 버젓이 출현하기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이미지출처 = KBS>
<이미지출처 = KBS>

이들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헌법적 가치를 수호하려는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의 염원을 저버리는 반헌법적 행위”라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가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했다.

고려대 교수들은 1992년 헌법재판소가 국정교과서에 대해 ‘위헌은 아니나 바람직한 제도는 아니다’라고 내린 판결을 상기해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다.

이들은 “정부는 국격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주력하기보다 국론의 분열과 대립을 불러올 백해무익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매달리고 있다”며 “국정 역사 교과서는 현재 극소수의 특수한 국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을 뿐이다. 과거사 청산 문제로 우리와 대립하고 있는 일본도 역사 교과서는 검정제로 발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당면 과제를 방기한 채 추진되는 교과서 국정화는 국격을 더욱 떨어트릴 것이며 정치적 갈등과 사회적 분열만 초래할 것”이라며 “결국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가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앞서 덕성여대와 부산대 교수들도 각각 15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는 시대의 공론이다」와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국정화를 반대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