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실 평기자 등으로 발령.. 기자협회 “청와대 향한 구애의 손짓” 비난
<KBS>는 15일 해당 내용을 처음 보도한 이재강 보도국 국제부장을 디지털뉴스부 평기자로, 용태용 국제주간을 심의실 평기자로 발령냈다. 또 송종문 디지털뉴스국장을 심의실 평기자로, 백진원 디지털 뉴스부장을 라디오 뉴스제작부 평기자로 발령했다.
공교롭게도 국제부와 디지털뉴스국은 ‘이승만 정부 일본 망명 타진 보도’와 관련된 부서다. <KBS> 뉴스9는 지난달 24일 이승만 정부가 한국전쟁 발발 이틀 만인 1950년 6월 27일 일본 정부에 한국인 6만명 망명 의사를 타진했고, 이에 일본이 한국인 피난 캠프 계획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는 일본 야마구치현의 역사자료와 당시 미군정의 기록을 근거로 했다. 그러나 뉴스가 나간 뒤 일부 보수 단체들은 항의하며 서울 여의도 KBS 사옥에서 기자회견과 1인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KBS>가 근거로 세운 자료가 일본 정부의 공식 자료가 아니라는 점과 이승만 기념사업회의 반론을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조선일보>와 일부 종편 방송 등도 <KBS>를 비판하는 보도를 내보냈다.
보수단체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KBS>는 지난 3일 “1950년 6월 27일이라는 날짜는 문서에 없으며, 이승만 정부가 난민 수용을 요청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이승만 사업회의 반론을 그대로 보도했다. 해당 기사도 홈페이지에서 삭제했다.
노조는 “보도의 독립성이라는 공영방송의 가장 큰 가치를 내팽개친 명백한 징계성 인사”라며 “조대현 사장이 연임을 위한 욕심으로 차기 사장에 대한 선임권을 행사할 이인호 이사장에게 충성 맹세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이인호 사장은 지난 8일에 열린 임시이사회에서 ‘이승만 망명설’ 보도를 안건으로 올리려 했으나 야당 이사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한국방송 기자협회도 비판에 가세했다. 협회는 “KBS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반론보도에 이어 징계성 인사가 단행됐다”며 “조 사장이 연임을 위해 청와대를 향한 구애의 손짓을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KBS는 현재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go발뉴스’는 구체적인 입장을 듣기 위해 홍보국에 전화 연결을 시도했으나 “관계자가 자리 없다”는 답변만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