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판에 메르스 전국서 연쇄감염.. 4차감염 우려 증폭

보건의료노조 “보건당국, 선제적 대응으로 지역감염 막아야”

정은경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현장점검반장이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공용브리핑룸에서 메르스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권덕철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총괄반장. <사진제공=뉴시스>
정은경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현장점검반장이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공용브리핑룸에서 메르스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권덕철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총괄반장. <사진제공=뉴시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자가 5명 늘어 총 150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5명 중 3명은 4차 감염자다. 보건당국이 연쇄적으로 상황을 오판하는 바람에 격리대상에서 벗어난 메르스 환자들이 전국으로 흩어져 연쇄 감염을 일으켰다.

15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대책본부에는 메르스 확진자가 150명이 됐다고 발표했다. 사망자는 16명으로 늘었고, 퇴원한 환자는 4명 증가해 14명으로 집계됐다. 격리대상자는 5216명(자가 4925명·병원 291명)이다.

추가된 확진자 중 146번(남·55) 환자는 지난달 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체류하다가 14번 환자와 접촉해 감염됐다. 147번(여·46)환자는 123번 환자가 머물렀던 서울 송파구 송태의내과의원에 머물다 4차 감염됐다. 123번 환자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감염된 환자다.

148번 환자(여·39)는 36번 환자를 심폐소생술(CPR)한 건양대병원 간호사다. 36번 환자는 천식과 고혈압을 앓고 있는 기저질환자로 건양대병원에서 16번 환자로부터 감염돼 지난 3일 사망했다.

149번 환자(여·84)는 16번 환자와 대청병원 응급실에서 입원했고, 150번 환자(남·44)는 76번 환자가 경유했던 건국대병원 동일한 병실에서 체류하다 4차 감염됐다.

메르스 확진자가 150명으로 늘어나면서 지역사회 내 전파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첫 4차 감염 사례가 나온 지 사흘 만에 5명으로 늘어났다. 4차 감염자는 기존 슈퍼 전파자로 분류되고 있는 1번·14번·16번 환자와 노출없이 추가로 감염된 것을 말한다.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자 현황 ©go발뉴스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자 현황 ©go발뉴스
하지만 보건당국은 “지역사회 전파 사례가 없다”는 입장이다. 권덕철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메르스의 특징은 침방울(비말)에 따른 접촉 감염”이라며 “추가 확산이 우려되는 곳을 중심으로 접촉자를 잘 통제하면 추가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의료계의 입장은 다르다. 이제라도 메르스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오선영 정책국장은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정부는 병원 내 감염만 강조하고 있다”며 “실제로 격리 대상자 명단에서 누락된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고 있기에 4차 감염과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메르스 앞을 치고 나가야할 정부의 대응책이 오히려 메르스 뒤를 쫓고 있다”며 “지금보다 선제적인 대응으로 지역 내 접촉자를 파악해 감염 전파를 차단해야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