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치용 美 비밀전문 공개…“중정 압력에 라디오 방송도 넘겨”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의 설립자인 고 김지태 씨가 <부산일보>를 포기하는 과정에서 당시 중앙정보부의 압력이 있었음을 미국도 인정했다는 전문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재미언론인 안치용 씨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 ‘시크릿 오브 코리아’(Secret of Korea)에 지난 1963년 6월 11일 주한미국대사관이 미 국무부에 타전한 한 장의 비밀전문을 공개했다.
‘부산일보-반미의 표출구’라는 제목의 해당 전문에 따르면 미 대사관은 부산일보의 소유주는 김지태 전 의원으로서 부정축재와 밀수혐의로 1962년 4월 체포됐다가 석방의 대가로 <부산일보>를 포기한 후 1962년 6월 22일 공소취하로 석방됐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지태 씨는 제 2대, 제 3대 민의원으로 당선돼 정치인으로 활동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안 씨는 “미국의 이같은 판단은 국정원 진실화해위원회의 2007년 부일장학회 헌납사건진상조사보고서 내용과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씨는 “미 대사관은 이 전문에서 1946년 창간된 부산일보는 부산지역에 4만여명의 독자를 가진 신문으로 최근 한국에서 대표적인 반미성향의 신문이라며 전 소유주는 김지태 전 의원이지만 현재 중앙정보부가 비밀리에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며 “미 대사관은 김지태가 석방의 댓가로 부산일보를 포기한 뒤 1962년 6월 22일 공소취하로 석방된 것은 물론 라디오 방송국 또한 중앙정보부의 압력으로 황용주에게 넘겼다고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안 씨는 “이 전문은 부산에서 잘 알려진 좌익인사중 한명이며 박정희(전 대통령)의 비공식 자문역할을 하던 부산일보 주필 황용주에게 운영권이 넘어가고 1962년 8월 1일 황용주가 부산일보 사장이 됐다고 지적했다”며 “황용주는 사장이 된 뒤 2천원의 대출을 받아 1963년 4월 한국에서 가장 현대적인 인쇄시설을 도입하고 5층 신축빌딩을 마련했다며 이같은 대규모 투자는 사실상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고 밝혔다.
안 씨는 “특히 이 전문은 1963년 5월 29일자 전문에서 김종필이 장악했던 중앙정보부의 강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고 밝히고 김지태는 라디오 방송국 또한 중앙정보부의 압력으로 황용주에게 넘겼다고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안 씨는 “부산일보는 황용주의 지시에 의해 반미와 중립주의자적인 기사를 게재하고 있으며 미국과 미국정부의 행동에 대한 공격은 정부매체인 서울신문을 훨씬 능가했다고 지적했다”고 밝혔다.
한편,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부일장학회 재산 등 강제헌납의혹 사건’과 관련, “김지태가 국가에 헌납한 토지 및 언론 3사 주식은 국가의 공식적 절차를 밟지 않고 최고회의 의장의 지시에 따라 5.16 장학회의 기본재산으로 출연됐다”며 “헌납재산의 소유명의는 국유재산법 등이 정한 절차에 의하지 않고 5.16 장학회로 이전됐다. 따라서 정수장학회는 그 헌납주식을 국가에 원상회복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지난 2007년 권고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