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男 이씨 2번 찾아…표창원 “3.1절이다, 거짓말 집어치워라”
국가정보원 직원 김모씨(29)의 대선 여론조작 인터넷 활동을 도운 것으로 알려진 이모(42)씨가 이메일은 커녕 전화 통화를 한 기록도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1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서울 수서경찰서 관계자는 “김씨의 휴대전화와 김씨 어머니 명의의 스마트폰 통화기록 등을 확인한 결과 김씨와 이씨가 직접 통화를 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김씨의 이메일 계정에서도 이씨와 연락을 취한 흔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이 사적인 지인 관계가 아니라 특정 조직에서 함께 활동 해온 ‘조직적 협업 파트너’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두 사람은 경찰 조사에서 모두 “‘누군가’의 소개로 알게된 ‘지인’ 사이”라고 진술했지만 직접적인 통화 기록이 전혀 없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두 사람간의 의혹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실제 김씨와 이씨는 10살 이상 차이가 나며 나이‧고향‧출신대학‧전공‧이력 등에서도 친분 관계로 연결되기에는 공동분모가 희박하다.
<경향>은 김씨가 ‘지인’인 이씨를 댓글 달기 작업에 끌어들인 것이 아니라 특정 조직이 이씨에게 이 일을 맡겼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이씨가 2011년 11월부터 올 1월까지 머문 서울 강남구 일원동의 고시원 관리인은 “30대로 보이는 남성이 이씨를 두 번 이상 찾아온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여성인 김씨가 아니라 30대 남성이 이씨를 찾아왔다는 것으로 이 사람이 김씨와 이씨의 공동작업을 연결해줄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조력자’ 이씨는 2004년 이후 주변인들과 연락을 끊고 지냈으며 고시원에서도 밖에 나가는 일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서면브리핑에서 “이들의 관계와 배후를 밝히는 것이야말로 이사건의 핵심으로 다가가는 열쇠가 될 것”이라며 경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현 대변인은 “경찰은 국정원 직원 김씨와 협조자 이씨 두 사람간의 활동을 연계한 제3의 인물에 대해서도 철저한 수사를 해야 하며 조직적인 협력 관계의 진상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엄중한 수사를 촉구하며 “민주당은 경찰의 꼬리자르기식 수사나 시간끌기식 수사로 국민적 관심을 벗어나려는 시도에 대해서 단호히 대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트위터에 “3.1절이다. 순국선열 생각해 거짓말 집어치우고 속시원히 진실 털어놔라”라며 “후손 보기에 부끄럽지도 않느냐!”라고 일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