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선별 무상급식 찬성 49% vs 반대 37%
‘순방 효과’를 보이며 상승세를 탔던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다시 하락 반전해 30%대 중반에 머물렀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17일~19일 사흘간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전주대비 3%p 하락한 36%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 수행도에 대한 부정평가는 54%로 전주에 비해 2%p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의견 유보는 10%다.
<갤럽>의 주간 조사를 기준으로 볼 때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설 연휴 이후 소폭 오름 현상을 보이다가 중동 4개국 등 순방 효과를 보이며 39%까지 올라간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다시 30%대 중반으로 하락하는 등의 변화를 보여 일각에서는 최근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 확산이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들(540명)은 그 이유로 ‘경제정책’ (17%)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뒤로 ‘소통 미흡’(16%), ‘복지·서민정책 미흡’(10%), ‘공약 실천 미흡·입장 바뀜’(10%) 등을 지적했다.
<갤럽>은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 이유에서 ‘경제정책’이 17%에 이른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그러나 경제 문제는 여러 측면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조사 결과만으론 더 구체적인 해석이 어렵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경북(TK)에서만 ‘긍정 47% 부정 43%’로 긍정평가가 소폭 높게 조사됐고 나머지 전 지역에서는 부정평가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이 40%로 전주대비 1%p 떨어졌고, 새정치민주연합은 27%로 1%p 올랐다. 정의당은 3%로 조사됐다.
이밖에 최근 경남의 무상급식 예산 지원 중단과 관련, 63%의 응답자들은 ‘초·중등 무상급식은 소득 상위계층을 제외한 선별적 무상급식을 실시해야 한다’고 답했고, ‘정부의 지원을 늘려 전면 무상급식을 계속해야 한다’는 응답자들은 34%로 조사됐다.
전면 무상급식을 계속해야 한다는 응답은 30대(57%)와 초·중·고생 학부모(54%), 새정치연합 지지층(52%)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표본을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7%(총 통화 6천56명 중 1천2명 응답 완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