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北이 비공개 요청” 해명 하루만에 거짓 들통

北 “남한 비공개 주장” 폭로.. 국방부 “북한도 비공개 동의”

16일 북한측이 남한이 먼저 남북 비공개 군사회담 비공개를 제안했다고 폭로한 데 대해 국방부가 이를 시인하면서, 전날 북한이 비공개를 제안했다며 양해를 구했던 국방부의 해명이 하루 만에 거짓임이 드러났다.

국방부는 지난 15일 북한이 먼저 비공개 회담을 제안해 회담을 비공개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며 언론에 양해를 구한 바 있다. 당시 국방부는 “북측은 지난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과 우리 해군 함정 간에 사격전이 발생한 것과 관련 긴급 군사당국 접촉을 가질 것을 제의했고, 우리 측이 남북이 비공개로 접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 SBS
ⓒ SBS

그러나 다음날인 16일 북한이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우리 측은 경애하는 최고사령관동지의 높은 뜻을 받들어 마련된 것인 만큼 (회담을) 공개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지만 이에 대해 남측은 머뭇거리며 저들끼리 수군덕거리더니 비공개로 하자고 주장해 나섰다”고 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뿐만 아니라 우리 측이 세 번째 접촉 요구를 받고서야 제안에 응했으며, 접촉에서도 북측 제안을 대부분 거부하는 등 남한이 사실상 대화 의지가 없었다고 비난했다. 총격 사건 발생 직후 북측이 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긴급 접촉을 하자는 전통문을 김관진 실장에게 보냈지만 남측이 북방한계선 준수를 요구하며 북측의 긴급 접촉 제안을 거부했다며 당시 전통문이 오간 시간을 ‘분 단위’까지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이에 국방부는 비공개 제안에 대해 우리 측이 먼저 제시했지만 북한도 동의했다고 해명했다. 국방부는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당초 북측이 7일 통지문에서 서해상에서의 교전과 관련해 ‘긴급단독접촉’을 제의하면서 김영철이 특사로 나올 것이며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의 판문점 접촉을 제안했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우리 측은 당일 전통문을 보내 북방한계선 존중·준수 필요성과 함께 관련사항은 고위급접촉 또는 군사회담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후 북측이 8일 긴급접촉 제의를 다시금 제안함에 따라 15일 ‘비공개 군사당국자 접촉’을 개최할 것을 제의했고, 북측이 이를 수용해서 회담이 성사됐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