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에서 부실한 대응의 책임을 물어 해체 결정이 내려진 해경의 내년도 예산이 올해보다 1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JTBC>에 따르면, 28일 해양경찰청은 내년 예산안은 올해 예산보다 9.9% 늘어난 1조 2200여억 원을 편성했다.
구조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사업비가 늘면서 예산 규모가 세월호 참사 전보다 오히려 확대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해경은 대형함정 건조와 항공기 도입에 2,700여억 원을, 수색구조와 해양사고 예방에는 지난해보다 2배 가까운 387억 원을 배정했다.
또 전문성 있는 구조활동을 위해 민관군 합동 훈련을 강화하고 현장 교육 훈련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해경 예산안은 2015년 정부예산안에 함께 편성돼 지난 22일 국회에 제출됐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해경을 해체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설명도 없이 예산을 증액 신청해 네티즌들은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네티즌들은 “반성은 안하고 자기네 배만 채우는 해경. 여전히 한심스럽다”(@Sch****), “‘안전’ 핑계대는 염치없는 예산증액에 지나가는 소가 배꼽 잡고 웃겠다”(@21g****), “해체는 어떻게 된 것일까요? 혼란스럽습니다”(@Div****), “일단 그 순간만 넘기고 본다. 그 후에 잇따르는 비판은 다 모독이다? 가관이다”(@aac****)라며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해경은 “세월호와 같은 해양 사고의 초기 대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