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실천주간 ‘리본묶기’ 자제해 달라는 것”.. 공문에 없던 내용 추가
교육부가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리본을 달거나 중식 단식, 학교 앞 1인 시위 등을 하지 말라고 했다가 비난여론이 거세지자 황급히 해명했다.
17일 교육부는 “교육부가 전국 시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리본달기’ 등 세월호와 관련된 교사들의 활동을 금지하라고 지시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 내용에 대해 “우리부의 조치사항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의 우려를 예방하려는 차원으로, 모든 학교 앞 1인 시위 및 단식에 대해 금지하라는 것이 아니라 학교 내 및 근무시간 등 법령에 위반되는 행위에 대해 금지조치하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리본 달기는 세월호 애도를 위해 개인이 가슴에 다는 리본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조가 세월호 실천주간에 학생들과 함께 추진하는 이벤트성 ‘학교 나무 한 그루에 애도와 약속의 리본 묶기’에 대해 교육활동과 무관하고 정치적 활동 및 학교의 공식적인 입장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자제해 달라고 한 사항”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전교조는 세월호 참사 5개월을 맞아 15~19일을 세월호 집중 실천주간으로 정하고 세월호 특별법 바로 알기 공동수업, 교사들의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중식 단식과 학교 앞 1인 시위, 애도의 리본 달기 등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교조는 성명을 통해 교육부의 세월호 활동 금지 지시에 대해 “교육부가 세월호 관련 자발적인 교사실천을 ‘정치적 중립위반’으로 몰아가는 것은 억울하게 제자와 동료를 잃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세월호 참사의 진상과 교훈을 알 권리를 훼손하는 비교육적 조치”라고 비난했다.
한편, 장휘국 광주 교육감은 이날 CBS라디오<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사고가 다시는 없어야 된다는 것에 온 국민이 공감하는데 특히 교사와 학생들은 더할 것”이라며 “거기에 대해서 그 안타까움과 슬픔을 억지로 못하게 한다는 것은 교육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장 교육감은 “(리본달기, 점심 단식 등의 활동이) 학생들에게 물론 영향은 주겠지만 그게 과도한 영향으로 이렇게까지 금지하도록 해야 할 사안인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다”며 “그래서 이 부분은 더 협의하고 검토하겠지만 현재로써는 학교에 이런 것까지 공문을 전달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