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만에 단식 중단.. “朴, 유가족 면담 요청 거절.. 도의가 아니다”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단식을 하고 있던 김영오 씨를 만류하겠다며 단식을 시작했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이 김 씨의 단식 중단 결정에 자신도 단식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김 씨는 46일, 문 의원은 10일 만에 단식 농성을 멈췄다.
문 의원은 28일 오후 김 씨가 입원해 있는 서울 동부병원을 찾아 “저는 김영오 씨의 생명이 걱정돼, 단식을 말리려고 단식을 시작했다. 이제 저도 단식을 중단한다”고 말했다.
병원에 도착한 문 의원은 약 10분 동안의 김 씨와 이야기를 나누고 나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히며 “세월호 특별법 제정이 여전히 안 되고 있는 것에 대해 저도, 당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해 국민들께 송구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제가 할 수 있는 모든 최선을 다하겠다. 광화문에 있는 동안 격려해준 시민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이날 유가족이 원하는 기소권과 수사권이 보장된 특별법 제정을 강하게 촉구했다.
문 의원은 “계산을 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주면 정부나 청와대가 곤란한 일이 생기지 않을까하는 계산, 특별검사로 골치 아픈 사람이 임명되면 대통령과 정부가 곤란하지 않을까하는 계산을 버리고,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특별법에 유족들의 의사를 반영해 유족들이 납득할 수 있는 특별법을 만드는 것”이라 강조했다.
또 “참사가 발생한 지 몇 달이 되도록 특별법 하나 만들지 못하고 있는 것은 유족들과 국민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며 “추석 전이라도 국민들이라도 개운한 마음으로 명절을 맞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추석 전 특별법 타결을 주문했다.
문 의원은 유가족들 면담 요청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박근혜 대통령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박 대통령과 관련해서 한 말씀을 드리자면 유민 아빠는 단식을 풀었지만, 많은 유족들이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러 청와대로 가는 도중에 경찰에 가로막혀 여러 날 거리에서 노숙을 하고 있다”며 “이는 유족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하다못해 위로의 말을 건네거나, 청와대에서 누군가 나와서 유족들을 만나기라도 해야 한다. 도의가 아니다”라고 규탄했다.
한편, 문 의원은 김영오 씨를 만난 자리에서 “단식 중단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아주 잘 결정했다고 인사를 드렸다”며 “또 덕분에 저도 단식을 멈출 수 있게 됐다. 김영오 씨가 (둘째 딸인) 유나하고 밥을 맛있게 먹는 게 소원이라 했는데 저도 그 자리에 끼워 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씨가) 다시 광화문으로 돌아오지 않도록 특별법을 잘 만들겠다고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