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악성루머라던 오비맥주, 소비자에 사과 안하나?”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오비맥주에서 생산한 ‘카스(Cass)’의 소독약 냄새 원인에 대해 ‘산화취’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불만을 제기하며 오비 맥주 측의 초기 대응을 두고 비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6일 <서울신문> 등에 따르면, 식약처는 ‘카스’에서 소독약 냄새가 난다는 민원과 관련해 냄새의 원인을 용존산소량 수치 초과에 따른 산화취로 결론 내렸다.
식약처는 맥주의 제조·유통 과정을 조사한 결과 이 맥주에서 다른 주류회사 제품보다 용존산소량이 많게 나왔고, 유통 과정에서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맥주가 산화되면서 소독약 냄새 같은 산화취가 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고 밝혔다. 용존산소량이 높으면 맥주가 산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식약처는 용존산소량이 높다고 해서 인체에 해로운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한 맥주의 용존산소량 자체는 식약처 규제 대상이 아니다.
다만, 식약처는 이번 산화취 논란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용존산소량 기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세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식약처의 이같은 결론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소독약 냄새 논란이 거세게 일었던 초기, 오비 맥주 측은 ‘유언비어’ 라며 유포자를 고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고 냄새의 원인에 대해 ‘일광취’ 등의 현상으로 보인다는 설명을 내놓은 바 있다.
소비자들은 이같은 방침에 ‘협박이냐’고 불만을 토로하는 등 국내 타사 맥주사와 제조 과정이나 유통 과정을 비교해 볼 때 적절치 못한 해명이라고 비난 목소리를 높였다.
한 네티즌(제*)은 “거봐 근거 없는 소문은 아니였구만.. 무조건 아니라고만 하니.. 한 번 외면한 소비자는 다시 돌아오지 않습니다”라고 일침을 가했고 또 다른 네티즌(헤라*)은 “악성 루머라며?”라고 비꼬았다.
이 밖에도 “제대로 사과 안하나. 소비자의 무시무시함 보여줘?”(불*), “전 세계 맥주 중 유독 카스만. 그것도 딱 올해만 일어난 자연현상이라 이거지?”(레고*), “배달, 보관 과정 다른 맥주들은 특이한 줄 아냐 똑같지. 그런데 카스만 맛이 이상한거면 그런 맛이 안나게 해야지. 인체에 무해하니 괜찮다고? 독과점이라고 맘대로 막하는구만”(빛의**), “식약처 결론은 저거고.. 소비자 결론은 안 먹으면 그만”(T**) 등의 불만 섞인 반응들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