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2명, 검․경 수사 불신.. “참사 원인 안 밝혀져”
세월호 특별법 협상의 핵심 쟁점인 ‘수사권 부여’와 관련, 국민 절반 이상이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사흘간 전국 성인 1016명에게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하는 안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53%가 ‘수사권을 줘야한다’고 답했고, 24%가 ‘주지 말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의견 유보는 23%다.
연령별로는 20~40세대의 3분의 2는 ‘수사권을 줘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50대도 수사권 부여 찬성이 49%로 반대(32%)보다 많았다. 반면, 60대 이상은 찬성(27%)보다 반대(34%)가 많았고 39%는 의견을 유보했다.
또한 현재까지 검찰과 경찰이 발표한 세월호 수사 결과에 대해 물은 결과로는 66%가 ‘(별로+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매우+어느 정도)신뢰한다’는 응답에는 28%가, 5%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로 보면 이같은 불신 여론은 20~40세대에서 70%를 넘어섰다. 50대에서도 64%로 높았지만 60대 이상에서만 ‘신뢰한다’가 42%로, ‘신뢰하지 않는다’가 44%로 조사됐다.
또한 세월호 사고의 원인과 책임이 얼마나 밝혀졌다고 보는지 물어본 결과도 64%가 ‘(별로+전혀) 밝혀지지 않았다’고 답했고, ‘(대부분+어느 정도) 밝혀졌다’는 31%에 그쳤다.
<갤럽>측은 “우리 국민 다수는 현재까지 세월호 진상규명이 미흡하다고 여길 뿐 아니라 이를 수사해 온 검경에 대한 불신도 큰 편”이라며 “별도 조직인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하거나 특별검사 등을 통해 좀 더 명확한 진상규명을 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