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참혹한 모습.. 가족들 희망 잃어가”
미국의 NBC가 세월호 침몰 당시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채 배 안에 있던 학생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을 보도했다. 이 사진들은 ‘go발뉴스’ 이상호 기자가 실종자 가족의 동의를 얻어 처음 공개한 사진들이다.
외신 번역 전문 사이트 <뉴스프로>에 따르면 NBC는 현지시간으로 26일 ‘Photos Show Harrowing Moments as South Korean Ferry Sank-한국 여객선 침몰 당시의 참혹한 순간들을 보여주는 사진들’이라는 제목의 방송을 통해 “여객선이 한국 연안에서 침몰하는 동안 한 학생이 올린 사진들은 배가 침몰할 때 배 안에 갇혀 있었던 승객들, 그중 많은 사람들이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참혹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NBC 기사원문 보러가기)
해당 사진들은 진도 현장에서 취재 중인 빌 닐리 수석 글로벌특파원은이 입수, 미 전역에 송출했다.
NBC가 보도한 사진은 단원고 학생들이 심하게 기울어진 세월호 안에서 대부분 구명조끼도 입지 못한 채 구조를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아래쪽으로 미끌어져 내려간 학생들이 뒤엉켜 있는 모습을 보고 ‘go발뉴스’ 이상호 기자는 방송 도중을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NBC는 이어“이 학생을 포함한 대부분의 실종자들과 사망이 확인된 187명은 16세에서 17세의 같은 고등학교 학생들이다. 69세의 선장은 승객들에게 탈출을 명령하기까지 30분을 지체했으며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한 혐의로 기소됐다”고 전했다.
특히 빌 닐리 기자는 자신의 트위터에도(@BillNeelyNBC) “경찰선들이 여객선 현장으로부터 빈 배로 돌아온다. 지금은 부두에 매여있다. 구급차들은 주차돼 있고, 잠수부들은 대기중이며 수색은 중단되고 실종된 사람들의 친지들은 고통 받고 있다”며 현장 분위기를 전달하기도 했다.
또한 기사는 “잠수팀이 한 방에 있었던 48명을 포함한 희생자들을 눈으로 확인했지만 다가오는 폭우와 강풍의 위협으로 수색 작업은 28일까지 중지된다”며 “가족들은 사랑하는 이들의 시신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부패하기 전에 발견되리라는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 다음은 뉴스프로가 눈물로 전하는 NBC의 보도 전문 번역이다. 번역 감수: 임옥 Photos Show Harrowing Moments as South Korean Ferry Sank 한국 여객선 침몰 당시의 참혹한 순간들을 보여주는사진들 BY BILL NEELY AND ELISHA FIELDSTADT JINDO, South Korea — Photos posted by a student as a ferry sank off the coast of South Korea show the harrowing scene of passengers trapped, many without life jackets, as the vessel went down. 한국 진도 – 여객선이 한국 연안에서 침몰하는 동안 한 학생이 올린 사진들은 배가 침몰할 때 배 안에 갇혀 있었던 승객들, 그중 많은 사람들이 구명 조끼도 입지않은 참혹한 모습을 보여준다. “The ship is sinking,” the unidentified student wrote with the pictures posted to a South Korean social media site on April 16, as the ferry took on water. His body has yet to be recovered from the Sewol, along with the bodies of 114 others.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이 학생은 4월 16일 배가 침몰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SNS상에 이 사진들을 올리며 “배침몰중”이라고 적었다. 이 학생의 시신은 114명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세월호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A majority of the missing and 187 confirmed dead are 16- and 17-year-old students from one high school. 대부분의 실종자들과 죽은 것으로 확인된 187명은 16세 내지 17세 나이의 학생들로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다. While diving teams spot victims — including 48 in one room — they cannot gain access to recover the bodies. Approaching heavy rains and fierce winds threaten to halt search efforts until Monday. 잠수부 팀이 한 방에 있었던 48명을 포함한 희생자들을 눈으로 확인했지만 그 시신들을 수습하러 들어갈 수가 없다. 다가오는 폭우와 강풍의 위협으로 수색작업은 월요일까지 중지된다. The high tides and strong currents already forced crews to call off the search Saturday, following the conclusion of a full day without the recovery of a single victim. 이미 밀물과 급류 때문에 수색작업은 하루 종일 한 명의 희생자도 인양하지 못하고 토요일 중단돼야 했다. @BillNeelyNBC : Police boats return from ferry site empty. Now tied up at dock. Ambulances parked, divers wait, search on hold, relatives of missing suffer. @BillNeelyNBC : 경찰선들이 여객선 현장으로부터 빈 배로 돌아온다. 지금은 부두에 매여있다. 구급차들은 주차돼 있고, 잠수부들은 대기중이며 수색은 중단되고 실종된 사람들의 친지들은 고통 받고 있다. Fishing nets surround an 8-mile perimeter of the boat to prevent bodies from being swept out to sea, but families are losing hope that their loved ones will be found before their bodies are decayed beyond the point of recognition — or found at all. 시신들이 바다로 쓸려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어망들이 여객선의 8마일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나, 가족들은 사랑하는 이들의 시신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부패하기 전에 발견되거나 혹은 어쨌든 간에 발견되리라는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 Although the search is stalled, the investigation is ongoing into what caused the ship to sink and why more passengers weren’t able to escape. 수색이 중단됐지만, 무엇이 배를 침몰시켰는지 그리고 왜 더 많은 승객들이 탈출할 수 없었는지에 대한 조사는 진행 중이다. On Saturday, the last of the ferry’s navigating crew members were brought into custody, according to The Associated Press. Just as the previous 11 crew members, including the captain, were charged, the newly arrested two helmsmen and two members of the steering crew are also accused of negligence and of failing to help passengers in need. AP 통신에 따르면 일요일 여객선을 조종하던 선원들 중 나머지 사람들이 구속됐다. 이전에 기소된 선장 포함 11명의 선원들과 마찬가지로 새로 체포된 2명의 조타수와 조종사 2명도 도움이 필요한 승객들을 돕지 않은 것과 업무태만으로 기소됐다. Transcripts indicate Captain Lee Joon-seok, 69, waited a half hour before ordering passengers to evacuate. Lee is also charged with abandoning ship. 통신기록에 따르면 69세의 선장 이준석씨는 승객들에게 탈출을 명령하기까지 30분을 지체했다. 이 씨는 또한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한 혐의로 기소됐다. The investigation extends beyond the crew. Homes and offices of people connected with the ship’s operator, Chonghaejin Marine Co. Ltd., have been raided, as prosecutors try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y bribed government inspectors to give the vessel a clean safety certificate. 수사는 선원들 이외의 대상으로 확대됐다. 검찰은 선박의 안전검사를 통과하기 위해 회사가 정부 검사관들에게 뇌물을 제공했는지에 대해 수사하기 위해 선박 운항업체인 청해진 해운과 관련된 인물들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On Friday, the Sewol’s sister ship was also raided, and investigators found that its life rafts and escape chutes were malfunctioning. 금요일, 세월호의 쌍둥이 여객선에도 압수수사가 진행됐고, 수사관들은 이 선박의 구명벌과 안전슈트가 작동하지 않는 사실을 밝혀냈다. Only two of the Sewol’s 46 rafts were deployed and records show it was carrying more than triple the recommended weight of cargo, according to politician Kim Young-roc. 김영록 의원에 따르면 세월호에 장착된 총 46개의 구명벌 중 두 개만이 작동했으며 기록을 통해 적정량보다 세 배 이상의 화물을 적재했음이 확인됐다. The most recent raids on Saturday were conducted on the home of Yoo Byung-un, 73, the head of a family that owns the Chonghaejin, and the office of the company’s accountant. 가장 최근에 진행된 압수수색으로, 토요일 청해진해운을 소유한 일가의 가장인 73세 유병언씨 자택과 이 회사의 회계담당 사무실에 대한 수색이 이뤄졌다. Yoo expressed his “profound sadness” in a statement, according to Reuters. Yoo added, “this blanket approach is standard for investigations by Korean regulators.” 로이터에 따르면 유 씨는 성명을 내고 “깊은 슬픔”을 표했다. 유 씨는 “이런 전면적인 접근 방식이 한국 당국에 의한 조사에 있어 관례다” 라고 덧붙엿다. Bill Neely reported from South Korea, and Elisha Fieldstadt reported from New York. First published April 26th 2014, 12:15 p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