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스펙 만만치 않네.. 감사원장 아닌 감사 대상”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부부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정부의 ‘인출 자제’ 당부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 예금 5천여만원을 조기 인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겨레>가 민주당 김기식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오릭스저축은행의 ‘고객종합거래현황’ 자료에 따르면, 황 후보자 부부는 2011년 7월 25일 정기예금 계좌 4개에서 모두 5754만원을 만기 8개월을 앞두고 빼냈다.
당시 금융당국은 저축 은행 영업정지와 예금 이탈의 악순환을 우려해 ‘인출 자제’를 당부했었다. 당시 대전지방법원장이던 황 후보자는 금융당국의 호소를 뒤로하고 일반 예금자들과 같이 인출에 나선 것이어서 공직자로서의 자질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황 후보자 측은 <한겨레>에 “자택 인근에 있는 단위 수협의 금리가 5%이고 오릭스저축은행은 5.1%인데, 수협의 이자소득세가 1.4%로 낮은 편이어서 실질금리는 오히려 더 높아 예금을 옮겼다”고 해명했다.
이 같은 보도에 한 네티즌(오아**)은 “병역면탈에 위장전입, 증여세도 안 내려다 늦게 내고, 거기다 저만 살겠다고 법원장인데 저축은행 예금 조기인출까지 저런 사람이 법원장으로 있으며 국민에게 법을 준수하라는 말이 가당키나 한 건가? 박근혜 주변엔 저런 사람 밖에 없어 감사원장을 시키려는 것인가?”라고 비난했다.
또 다른 네티즌 ‘seo****’는 “감사는커녕 나라살림 거덜 낼 자가 감사원장 후보라뇨? 부정부패로 찌들은 황찬현 씨는 즉시 사퇴하라!”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SNS상에는 “정말, 정말로 이 나라에는 정상적인 삶을 살아온 고위공직자는 없단 말인가? 왜 아귀같은 삶을 살아온 사람들만 고위직을 차지하나?”(mad****), “자신이 접할 수 있는 고급 정보를 재산 지키기에 사용한 사람”(ju****), “내 돈 5천만 원을 지키기 위해 정부의 뜻도 무시하신 법원장님이 감사원장이라...이 정도는 돼야 이 정권에서는 한 자리 할 수 있구나”(이**), “이분도 스펙이 만만치 않네!”(신장**), “ㅋㅋ 도대체 공직자 기준이 뭐에요”(최**), “감사원장이 아니라 감사 대상인 듯 뭐가 이리 구려?양파...”(행복**), “부끄러워서도 못하겠다. 자진해서 내려와라. 그래가지고 국민을 위해서 무슨 일을 하겠다고~ 국민들만 더 힘들어진다. 혈세 축내지 말고~”(냇*)라는 등의 반응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