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방중 앞두고 주중 군사외교관 ‘윤창중 수준’ 음주사고

김현 “국방정보본부장 전결로 사건 축소․은폐” 의혹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을 앞두고 주중 한국대사관의 군사외교관이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낸 뒤 이를 은폐하려다 소환 조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 사고의 뒤처리가 국방정보본부장 전결로 이뤄져 지휘계통인 국방부에 보고조차 되지 않았고, 주중대사관도 조사를 하지 않아 박 대통령의 방중 효과가 희석될 것을 우려해 은폐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3일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김현 민주당 의원이 국방정보본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중대사관 군사외교관 A씨는 비상근무기간인 지난 6월 24일 오후 한 식당에서 3시간가량 술을 마신 뒤 귀가하기 위해 운전대를 잡았다.

A씨의 차량은 도로 경계석과 충돌해 파손됐지만, A씨는 이 같은 사실을 상부에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 뒤 기무보좌관이 보험회사 직원 등에게서 사건을 인지해 7월 16~19일 국방정보본부 감찰실에서 조사가 진행됐고, 그 결과 이 군사외교관은 복종의무 위반 혐의로 보직해임된 뒤 한국으로 소환됐다. 당시 A씨는 박 대통령의 방중(6월27~30일)을 앞두고 비상근무 중이었으며, 대통령 전용기 관련 임무를 맡고 있었다.

국방정보본부의 감찰보고서는 “VIP전용기 담당(부) 임무를 맡고 있었는데 음주 운전을 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행동으로 만약 언론에 보도되었다면 미국에서 발생한 ‘윤창중 대변인’ 수준으로 방중 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일”이라고 적혀 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노컷뉴스>에 따르면, 김 의원은 “권영세 주중대사가 비상근무를 지시한 상태에서 발생한 음주교통사고 추태는 권 대사의 통솔능력 뿐 아니라 공직기강 해이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김현집 국방정보본부장이 전결로 사건을 축소한 의혹이 있다”면서 “대사관 차원의 진상조사 없이 국방정보본부 감찰로 사건을 무마한 것은 권 대사의 안일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