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MB는 한식, 朴은 한복, 국민은 한숨...”
박근혜 대통령의 ‘한복 사랑’에 힘입어 한복 정책을 전담할 정부기관이 설립될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1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복 정책 전담 기구인 ‘한복 진흥센터’를 내년 3월 설립하고 향후 법정기관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복진흥센터는 재단법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부설로 내년 10억원 예산을 지원받아 한복에 대한 연구, 전문인력 양성, 사업화와 컨설팅 등의 구실을 하게 된다.
또한 한복진흥센터와는 별도로 한복 진흥에 관한 법률도 의원 입법 형식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오는 17일 ‘문화역 서울 284’에서 문체부가 주최하고 재단법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사단법인 한복다체총연합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한복의 날’ 행사를 연다.
하지만 한복의 날 행사는 최근 몇 년 동안 계속 외면 받아왔고, 예산도 들쭉날쭉했다. 2002년 이후 2005년까지 매년 1억~2억원대였던 행사 예산이 지난 2006년 10주년 행사에서 4억원으로 대폭 늘었다가, 2007년 대통령선거 기간 때 666만원으로 줄어들었다.
그 뒤 이명박 정권 동안 내내 1000만원 안팎에 머물렀던 예산은 지난해 대선 기간 겨우 2250만원으로 늘었고, 올해는 1억3000만원으로 다시 늘어났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식 이후 지속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한복 선호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식 이래 행사 때마다 한복의 우아하고도 아름다운 매력을 세계만방에 널리 알리고 있어 (한복 정책 추진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며 “아직까지는 한복의 대중화 정책과 고급화 정책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한 것 같다”고 <한겨레>에 말했다.
한편 문체부의 한복진흥센터 설립에 대해 네티즌들은 “잠시만 기다리세요. 놀라운 한복 체험이 기다리고 있습니다”(ssa****), “한복세계화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추진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iyu****), “잘하면 무당 분들 훈장 받겠네요. 한복 보편화에 앞장선 공로로”(act****)라며 비꼬았다.
특히 많은 네티즌들은 지난 이명박 정부에서 김윤옥 전 영부인의 ‘한식 세계화’ 사업의 실패를 꼬집으며 “알아서 미리 하시는 것이겠죠? 영부인 취미생활로 한식 세계화하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jhn****), “청와대 여자들은 한식도 싫게 하고 한복도 싫게 만드는 기가막힌 재주들이 있어”(_im****), “이명박은 한식, 박근혜는 한복, 국민은 한숨...”(osa****)이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