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은, 통화 사실 인정…내용 확인은 尹측근 이시원 비서관에 미뤄”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의 과실치사 혐의를 빼라고 압력을 넣은 윗선이 누구인지가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누구누구 수사 언급하면 안 됨’이라는 지시를 놓고 현재 해병대 부사령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29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정종범 해병대 부사령관이 지난해 7월 31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받아적은 메모에는 ‘누구누구 수사 언급하면 안 됨’이라고 적혀있다.
정 부사령관은 지난해 8월 4일 군검찰에 출석해 “장관님이 크게 4가지를 말씀하셨다”면서 “누구누구 수사 언급하면 안 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그런데 지난해 9월 8일에 스스로 군검찰에 출석해 돌연 “누구누구 수사 언급”이라는 말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했다고 진술을 뒤집었다.
하지만 유 법무관리관은 지난해 8월 29일 군검찰에 출석해 “정 부사령관이 장관에게 ‘누구누구 수사 언급하면 안 된다’는 지시를 받았다는데 관련 조언을 한 게 있냐”는 질문에 “지시를 하는데 법적 조언을 한 게 없다”며 정 부사령관과 정반대의 진술을 했다.
JTBC는 “두 사람 가운데 한 명은 위증”이라고 지적하며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 측은 정 부사령관에게 해당 지시를 전달한 사람은 따로 있을 거라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유재은 법무관리관은 경찰에 이첩된 ‘채상병 사건’ 기록을 군검찰이 회수해가는 과정에서 대통령실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과 통화했다.
같은 날 MBC 보도에 따르면, 유 관리관은 공수처 1차 조사에서 이시원 비서관과 통화한 적은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무슨 내용인지 기억 안 난다”, “해병대 사건 관련 내용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며 “그 사람한테 물어보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MBC는 “유 법무관리관 뒤에 대통령실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진 상황에서 유 법무관리관이 통화 내용 확인을 이시원 비서관에게 미룬 것”이라 짚고는 “이시원 비서관에게 유재은 법무관리관과 해병대 사건 회수 관련 통화를 했는지 물었지만 이 비서관은 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