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 대통령실 이시원 통로로 그 윗선일 가능성”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이첩한 ‘채상병 사건’ 수사기록을 국방부 검찰단이 회수해간 당일, 대통령실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통화한 정황이 드러났다.
작년 8월 2일 국방부 검찰단은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채상병 사건’ 수사기록을 반나절 만에 회수해갔다.
22일 MBC 보도에 따르면, 당시 관계자들의 통화내역을 광범위하게 분석해 온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국방부 유재은 법무관리관에게 한 휴대전화 번호로 여러 차례 전화가 걸려 온 내역을 확보했는데, 이 휴대전화 가입자가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이었다는 것이다.
MBC는 “처음엔 전화를 받지 않다, 오후 늦게 통화가 이뤄진 내역이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며 “공수처는 두 사람이 평소 자주 통화하던 사이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두 사람의 입장에 대해 MBC는 “지난 1월부터 석 달간 이시원 비서관에서 수차례 전화와 문자를 통해 입장을 묻고, 직접 찾아갔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고, “취재진과 만난 유재은 법무관리관은 당시 통화에 대해 묻자, ‘대답하지 않겠다, 수사결과가 나오면 다 알게 될 것’이라고만 답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경북경찰청 수사팀은 공수처에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넘겨받은 ‘채상병 사건’ 수사기록을 복사하려고 복사기까지 돌렸다고 진술했다. 결국 경찰은 복사를 채 다하기도 전에 태도를 바꿔 기록을 국방부에 넘겼다.
경북경찰청 간부는 MBC에 국방부 유재은 법무관리관과의 통화 끝에, 수사기록을 경찰이 ‘반환’하는 게 아니라 국방부가 ‘회수’하는 걸로 최종 결정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사건번호도 안 매겼고, 사건을 공식 접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찰이 ‘반환’한 게 아니라, 국방부가 ‘회수’한 거라고 지적했고, 유재은 관리관도 이에 동의해 ‘회수’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MBC는 “국방부 장관의 참모가 회수를 주도한 셈인데, 이종섭 전 장관은 ‘자신은 우주베키스탄 출장 중이어서, 회수에 대해선 사후 보고받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관련해 조국혁신당은 공수처에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의 소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김보협 대변인은 23일 논평을 내고 “검사 출신인 이시원 비서관은,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 중의 측근”이라며 “윤 대통령 핵심 측근이, 수사 외압 사건에 깊이 연루된 자에게 전화해 어떤 지시를 했는지 공수처는 즉각 소환해 조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종섭 전 장관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쟁점 중 하나를 두고 자신은 ‘관여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은 데 대해 김 대변인은 “이 전 장관이 아니라면 그런 지시를 할 수 있는 쪽은 당연히 장관의 윗선”이라며 “대통령실의 이시원 비서관을 통로로 그 윗선일 가능성이 처음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용산 대통령실은 도대체 언제까지 침묵할 거냐”며 “‘채 상병 순직 수사 외압 사건’의 몸통을 가리려 하니, 애꿎은 군인과 공무원들이 말 못하는 고뇌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숨쉬기도 벅찬 하루하루를 감내하고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하나의 거짓을 가리기 위해, 수많은 이들이 입을 맞추고 또 다른 거짓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거대한 거짓의 피라미드에 관련된 자들은 하루라도 빨리 진실을 털어놓아야 죄의 무게가 가벼워질 것”이라 경고하고는 “그것이 4.10 총선에서 확인된 국민의 명령”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