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김한길‧안철수‧노회찬 ‘강한 음성’ 인터뷰 시도했더니..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국정원 게이트’와 관련 문재인‧김한길‧안철수‧노회찬 등 범야권 대표정치인들의 ‘강한 음성과 행동’을 주문한 가운데 ‘데일리 고발뉴스’가 28일 이들의 입장을 물었다.
앞서 조국 교수는 이날 트위터에서 “국정원과 경찰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헌정문란범죄의 증거가 속속 나오고 있다”며 “문재인, 김한길, 안철수, 노회찬 등 범야권 대표정치인의 강한 음성과 행동을 접하고 싶다”고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조 교수는 “과거 권위주의에 맞서 싸워 정치적 민주화를 이끈 김영삼, 김대중 두 사람이라면”, “또 노무현이라면?”이라고 물으며 소극적인 야당 정치인들을 비판했다.
김진애 전 민주당 의원도 ‘이제 시국행동이 필요하다’며 “눈치보지 맙시다. 눈치보게 하지 맙시다. 해야 할 일 해야 내일이 보인다”고 적극적인 행동을 주문했다.
해당 의견은 트위터에 급확산되며 높은 관심을 모았다. 문성근 노무현재단 이사는 ‘go발뉴스’의 기사를 리트윗하고 “동의합니다”라는 의견을 남겼다.
이에 ‘매일 뉴스’ 체제 전환 이틀째인 28일 ‘데일리 고발뉴스’는 이들에 대한 전화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러나 국민들이 바라는 ‘강한 음성’은 들을 수 없었다. 문재인 민주당 의원측은 “죄송한데 아직까지는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답했고 김한길 민주당 대표측은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았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측도 전화를 받지 않았고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측은 전화기가 꺼져 있었다.
‘데일리 고발뉴스’ 앵커 이상호 기자는 “하루 종일 전화를 시도했는데 현 상황에서는 강한 음성 듣기가 쉽지 않다”면서 “국민들은 내일이라도 이들의 강한 음성 듣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데일리 고발뉴스’는 29일 ‘장자연 사건’ 관련 특종 특집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뉴스 독립군 ‘데일리 고발뉴스’는 월~목 ‘go발뉴스’ 홈페이지와 팟캐스트를 통해 볼 수 있다. 또 종합편으로 시민방송 RTV에서도 방송된다. 당초 매일 7시 생방송을 계획했으나 노후장비와 스튜디오 문제로 당분간은 팟캐스트로 보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