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장재구, 20년간 망가뜨려”…사측, 이영성 국장 형사고발
최근 한국일보 사측이 임명한 하종오 신임 편집국장이 편집국 기자들이 만든 15일자 1면 단독 기사 <박 대통령 광고업계 일감 몰아주기 지적에…공정위 납품가 후려치기조사 착수>를 인쇄전에 경제면으로 빼고, 대신 <육‐공군 방송무기 알력>기사를 배치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한국일보 노조는 “한국일보 1면이 비정상적인 제작 과정을 통해 다른 판으로 바꿔치기 된 초유의 사건”이라며 “회사 측의 철저한 조사와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노조 측은 16일 “최근 부당인사 사태 이후 사측에 동조해 왔던 모 부장이 5월14일 밤 11시 편집국 밖 모처에서 정체불명의 편집자(또는 오퍼레이터)를 대동하고 해당 지면을 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사측은 이렇게 제작한 41판을 이후에도 계속 인쇄해 시내까지 배포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과정에서 2면에 지면공백을 메우려고 배치한 ‘日 관광객 뚝…썰렁한 명동’이란 제목의 독립사진이 18면 독립사진과 중복게재 됐고, 41판(수도권판)이후 편집국이 정상적으로 진행한 시내판용 판갈이 작업까지 지면에 반영되지 않아 ‘주진우 기자 구속영장 기각’, ‘배상면주가 대리점주 자살’ 등의 비중 있는 기사들이 실제 신문에 전혀 게재되지 못했다고 노조측은 전했다.
노조 측은 이번 사태는 “정상적인 신문 제작 절차 과정을 무시한 초법적인 행태”라며 “편집권 독립을 규정한 한국일보 편집강령을 심각하게 위반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날 <미디어스>보도에 따르면, 한국일보 사측 관계자는 “현재 편집국장은 하종오 국장이다. 당연히 편집국장이 1면을 바꿀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일련의 한국일보 사태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 강성남 위원장은 ‘go발뉴스’에 “장재구 회장 일가가 한국일보의 전통과 가치를 20년동안 망가뜨려 왔다”면서 “배임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장씨 일가는 이번 일을 계기로 모든 일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한국일보의 전통과 가치는 한국일보 사원들에게 온전하게 넘겨주고 한국일보의 미래는 그런 사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측은 지난 1일자 인사발령을 통해 편집국장직에서 해임됐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국장직을 맡아 지면을 제작하고 있으며 편집국장실을 무단점거 했다는 이유를 들어 이영성 편집국장을 업무방해 혐의로 형사고발했다.
사측 관계자는 <미디어스>에 “원래 14일 오후에 징계위원회를 열기로 했는데, 오전에 (이영성 국장이)회장-부회장-사장 앞에서 사과하면서 이제 노조 일에 참여 안하겠다고 했었다. 그래서 징계위원회를 연기했었는데 계속 편집국장실을 무단점거하고 있다”며 “(사측은)고발을 취하할 의사도 있었는데 계속 무단점거를 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발령 조치를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영성 편집국장은 이같은 사측의 입장에 “회사측이 인사위원회를 유보하겠다면서 이야기를 나누자고 해서 만난 것일 뿐이다. 경과를 설명하고, 만약 회사가 노조와 타협을 한다면 그날로 바로 휴가를 가겠다고 했을 뿐”이라며 “(회사가)그런식으로 이야기했다면 협상을 하겠다는 자세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최진주 언론노조 한국일보지부 비대위 부위원장은 16일 ‘go발뉴스’에 “한 언론매체의 기사를 보고 형사고발 소식을 알았다”면서 “고발했다고 알려진 시기는 노조가 사측과 교섭 중이었던 때다. 한편으로는 교섭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고발을 해 뒤통수를 쳤다”고 비판했다.
최 부위원장은 이어 “이영성 국장은 기자들이 회사의 부당인사 자체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기자들의 총의에 따라 국장직만 유지 하고 있을 뿐 실무에는 전혀 개입하고 있지 않다”면서 “사측은 이영성 국장이 배후가 되어 노조를 조종하고 있다는 식의 유언비어를 퍼트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14일로 예정됐던 이영성 국장에 대한 인사위원회가 연기되면서 사태해결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졌지만, 15일 곧바로 사측이 이영성 국장을 대기발령 시키고 22일 인사위를 예정대로 열겠다고 통보하면서 교섭도 결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