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부터 송·황 타깃 정치적 수사…70여번 불러 진술 강요, 주변인들 탈탈 털어”
검찰이 4일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 울산시청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에 나선 가운데 검찰이 2년전부터 송철호 울산시장과 황운하 울산경찰청장을 타깃으로 정치적 수사를 해왔다는 주장이 나왔다.
울산 건설업자 김흥태씨는 3일 보도된 뉴스타파와의 인터뷰에서 “경찰수사가 진행 중이던 2018년 말부터 검찰이 송철호 시장과 황운하 청장과의 관계,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비리를 진술하도록 회유, 협박했다”고 말했다.
김흥태 씨는 또 “검찰이 고발인인 나를 별건수사로 구속한 뒤, 5~6개월 간 무려 70번 가량 검찰에 불러 이런 식의 진술을 강요했다”고 증언했다.
김기태씨는 2014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동생 김삼현씨와 ‘30억 불법 용역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이 계약서는 이행되지 않았고 김흥태씨는 이 문제를 검찰(2016년)과 경찰(2018년)에 알리고 김기현 전 시장 형제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2018년 1월 본격적으로 수사를 진행했지만 검찰은 2018년 5월경부터 김 전 시장의 동생이 이난 고발인인 김흥태씨를 수사하는 데 집중했다.
검찰은 주변인들을 상대로 먼저털이식 별건수사를 벌인 끝에 2018년 12월 김흥태씨를 구속했다.
관련해 김흥태 씨의 사업파트너이자 지인인 강석주 씨는 인터뷰에서 “2018년 5월 경부터 검찰관계자가 ‘김흥태를 사기 혐의로 고소하라’고 집요하게 요구했다”고 말했다.
강석주씨는 수차례 진행된 조사에서 “검찰이 ‘물 들어올 때 노 저으라’라며 집요하게 요구했다”고 증언했다. 심지어 “검사가 화가 나면 서서 소리를 질렀다”며 상당히 위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했다.
김흥태씨는 뉴스타파와의 추가 인터뷰에서 “2018년 12월 구속된 뒤 70번 가량 검찰에 불려나가 조사를 받았다”며 “검찰은 내 구속 사유인 사기 등 혐의에 대해서는 별로 묻지 않았다. 주로 송철호 울산시장과 민주당, 황운하 울산경찰청장과 관련된 질문들이었다”고 말했다.
또 김 씨는 “검찰이 송철호 울산시장과 황운하 당시 울산경찰청장 관련 비리 사실을 진술하면 풀어주겠다”는 식의 회유와 협박을 반복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송철호 시장이나 황운하 청장은 ‘쳐 먹고 늘어져 있는데 왜 당신만 여기 구속돼 있느냐, 빨리 나가서 하던 사업을 계속해야 하지 않느냐’ 같은 말을 하면서 회유했다”면서 “그 사람들의 비리를 폭로해도 나는 처벌받지 않을테니 걱정말고 얘기하라는 식이었다”고 말했다.
심지어 검찰 출신 변호사를 선임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흥태씨는 “그게 뭘 말하는 것인지 몰라 물어 보니 ‘검사들끼리는 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며 “담당 검사는 또 ‘수사에 협조를 하면 형량을 최대한 낮춰주고 아니면 최대한 높이겠다’고 자신의 권한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검찰의 먼지털이식 별건 수사로 구속됐던 김흥태씨는 2018년 12월, 검찰청에서 자해를 시도하기도 했다.
김씨는 왼쪽 팔목에 세 줄의 칼자국이 남은 흉터를 보여주며 “16번 바늘을 꿰맸다. 살면서 이렇게 억울한 일을 당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이 없는 죄를 만들어서 사람을 잡아 넣는다는 것이 너무 싫었다”면서 “그때는 정말 다 폭발시켜 버리고 싶은 심정이었다”고 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는 이날 10시부터 울산시청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에 나섰다.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송철호 울산시장 등이 청와대 관계자들을 만나 공약을 논의한 정황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2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비서실 부실장이었던 정모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